떼쓰기나 거절 반응이 심한 3-4세 아이를 훈육할 때 감정 조절과 규칙 교육을 동시에 도와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궁금합니다.
떼쓰기나 거절 반응이 심한 3-4세 아이를 훈육할 때 감정 조절과 규칙 교육을 동시에 도와줄 수 있는 효과적인
접근법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떼를 쓰는 3세~4세 아이로 인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만3세 이전에는 아이들이 부모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훈육의 효과가 없다고 합니다.
이 시기에는 아이의 마음을 대신 말을 해주는 것으로 훈육을 대신한다고 하면 좋겠습니다.
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
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줍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울지 말고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떼쓰기가 심하다 라는 것은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전달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에 말 보다는 행동으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함이 클 것입니다.
하지만 자신의 감정을 언어가 아닌 행동으로 전달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옳지 않은 행동 이라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떼를 부린다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지금 한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지금 한 행동이 옳지 않았는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감정을 제어하고 조절하는 방법은
긴 호흡으로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기를 반복하면서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도록 해주고. 머릿속을 생각을 정리
하도록 한 후, 마음이 진정되면 그때 자신의 감정을 부드러운 어조로 조곤조곤 전달 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평소에 감정 단어를 놀이처럼 익히게 하고, 규칙은 짧고 긍정적으로 ++할때 ++한다 식으로 반복을 해주세요 감정조절>규칙확인>일관된 대응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3-4세 아이는 감정이 폭발할때 이성적으로 통제하기 어렵습니다. 이럴떄는 먼저 아이 감정을 속상했구나 처럼 인정해주고 감정이 진정된후 짧고 분명한 규칙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먼저, 감정 조절을 돕기 위해 가장중요한 것은 감정 공감과 이름 붙이기입니다
아이가 거센감정을 드러낼 때, 바로 제지하거나 논리적으로 설명하려 하기보다,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인정하고 그 감정에 이름을 붙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는 스스로도 자신이 왜 이런감정을느끼는지 모를 떄가 많기 때문에 부모가 감정을 대신 정리해주면 안정감을 느끼고 감정이 가라앉을 수 있습니다
감정을 받아주되, 그 감정으로 인해 생긴 행동이다 옳은 것은 아니라는 점은 따로 구분해서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래와 같은 접근법을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감정을 표현할 때, 공감을 해 주면서 "네가 화나는 이유를 알고 있어." 혹은 "네가 왜 화를 내는지 이해해."처럼 말하면서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규칙을 간단하고 일관성 있게 설명을 해 주세요. "이건 이렇게 해야 해."처럼 아이가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하고, 쉽게, 명확하게 안내를 해 주세요.
아이가 떼를 쓰는 상황에서는 감정적으로 다그치거나 소리를 지르거나, 화를 내기보다는 침착하고 차분하게 반응해 주세요. 그리고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결과를 설명하고, 아이에게 대체 행동이나 대체 활동을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