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아이 말을 잘몬해요~~~~~~
우리아이 둘째가 4살인데 아직말을 할줄몰라요 다른아이는 말을하는것같은데 우리아이는 아빠만하고 대화가 안돼요 문제가있는걸까요?
아이가 말을 잘 하지 못해서 걱정이 되겠습니다.
4세인데 '아빠'라는 말 이후에 대화가 되지 않는다면 아이 스스로도 답답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이의 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도 좋겠습니다.
가까운 발달센터에 문의해서 상담을 받아보는게 어떨까 생각됩니다.
아동의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의 지능, 신체적 요인, 사회·정서적 요인, 성별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이 있습니다.
-가정의 사회 경제적 위치, 가정의 문화, 형제·자매의 유무 등과 같은 가정 환경적 요인도 영향을 미칩니다.
-아이의 환경적인 요인 중에는 교사, 학급의 크기, 교수 학습 방법 등도 영향을 미칩니다.
일상생활에서 아이와 대화를 자주 나누고 동요를 꾸준히 듣게 해줍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지속적으로 책을 읽어주는 것도 언어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만 24개월 정도면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고, 36개월이면 문장을 구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개인마다 발달 속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아이들의 언어발달은 아이마다 다를수는 있지만 4살정도에 엄마아빠라는 단어만 할수 있다면 언어가 느린편에 속하기는 합니다. 아이의 언어발달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대화를 시도하고 책읽기같은 활동을 통해 언어를 많이 노출시켜주세요. 또한 이야기를 듣고 반복적으로 따라 하게 하는것도 언어발달에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의 언어발달이 지속적으로 지연된다면 전문적인 기관이나 병원에서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아이의 발달 단계에 따라서 3살이나 4살이 되어서 말문이 갑자기 트이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현재 아이는 또래친구들의 정상 발달 단계보다 조금 느린 단계이기 때문에 자세히 다시 한 번 살펴 보신 후에 병원이나 언어 발달센터에 가셔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혹시나 아이에게 도움이 필요하게 되었을때 전문가들의 신속한 도움들이 큰 효과를 거둘 수도 있기때문입니다.
아이가 말을 잘 못하는 이유는 말이 트이는 시기에 적절한 언어자극이 충분히 되지 않았기 때문 입니다.
아이 언어자극 방법으로는 책을 많이 읽어주는 것,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걸어주며 질문도 해주고 아이가 답변할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이의 언어가 너무 지연 된다면 센터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도록 하세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아이마다 개인차가 있어 말이 늦은 아이가 있어요.
아이가 표현과 행동전달이 된다면 조금 더 기다려 보셔요.
아이에게 간단한 말을 많이 걸어주시고 표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셔요.
언어 발달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면 전문가 상담이나 진료 받아보셔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