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금리는 더 올라갈 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경제동향에 대해 궁금한 30대 초반 여성입니다. 지금 물가가 다시 꿈틀대고 있는데 이에 따라 금리도 올라갈 가능성이 높을까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전년대비 2.6% 오르며 넉달 연속 2%대를 기록했습니다. 유류세 인하폭 축소로 석유류 가격이 올라 물가상승률이 소폭 커지긴했지만, 물가 자체는 안정궤도에 진입했다는 평가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9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한 가운데 국내 물가 압박이 다소 완화돼 한국은행도 금리 인하 부담을 덜게 됐습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되는 경제지표가 경기침체를 걱정할 정도로 좋지 않게 나와 미국이 금리를 급격히 인하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가 안좋아지면 우리나라 수출도 감소할 것이고 그에 따라 금리인상보다는 금리인하의 가능성이 훨씬 높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앞으로는 금리가 무조건 인하할 것입니다
특히 미국이 9월에 금리를 인하하면 하반기에 우리나라도 따라서 금리를 인하할 것이고
이를 시작으로 꾸준히 금리가 인하될 전망입니다.
따라서 투자를 할 때는 금리 하락기에 상승할 자산에 투자를 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올라갈 가능성은 높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의 경우 미국을 따라가기 마련인데 미국을 보자면
미국의 실물경제는 정말 어렵습니다. 든든하게 버텨주던 중산층이 20%가 줄었다고 하며 연봉 2억 이하는 물가 때문에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라고 합니다.
그래서 소비가 급위축되었으며 이게 기업실적으로 슬슬나타나기 시작했고 PMI 46.8이라는 너무 낮은 수치와
실업률이 4.3%로 점차 급등하는 점을 보아 금융위기 당시 비슷한 흐름으로 진행되고 있어 금리 인상보다는
금리 인하쪽으로 거의 확정적으로 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물가 상승이 지속되면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여 물가 상승을 억제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물가가 상승하면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은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향후 금리는 올라갈 가능성보다는 점진적 하락과 횡보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됩니다
미국은 이미 9월 금리인하 시사가능성을 이미 예고 했으며 향후 미국의 생산경제를 위해선 금리인하와 달러가치 하락이 필수적인것도 중요한부분입니다. 또한 대선이후 미국 재정정책을 위해서도 금리인하와 시중 유동성증가도 중요한 부분으로 보여집니다.
한국도 이창용총재도 국내경기의 내수소비와 둔화의 우려로 금리인상은 힘들것으로 보여진다고 언급을 하였고 향후 가계대출과 수도권 부동산가격만 안정화된다면 금리인하시사를 내비치기도 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물가 상승이 다시 나타나는 상황에서 금리가 더 올라갈 가능성을 살펴보면, 첫째,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면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소비자와 기업의 대출 비용을 증가시켜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둘째, 미국 경제가 강세를 보이면 금리 인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강한 경제 성장과 고용 증가가 지속되면, 중앙은행은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할 것입니다. 셋째, 한국과 미국 간의 금리 역전 현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한국은행도 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는 금리 상승 압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습니다. 반면, 경제 성장 둔화나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낮추는 방향으로 나갈 수 있으며, 이는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조치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금리 인상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하며, 다른 국가들이 금리를 인하하는 경우 미국도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물가 상승 상황에서는 금리가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지만, 경제 상황, 중앙은행의 정책, 글로벌 경제 동향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 투자자는 이러한 상황에서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리고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여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리 변동에 대한 예측은 항상 불확실성을 동반하므로, 지속적인 시장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있습니다.
최근 물가 상승으로 인해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 여부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물가 상승이 지속되면 중앙은행은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리 인상은 소비를 줄이고 투자를 위축시켜 경기 과열을 막고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현재 상황에서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물가 상승, 경제 성장률의 빠른 증가, 고용 시장의 과열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중앙은행이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 인상을 고려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주변 국가들의 금리 동향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면, 금리 인상을 억제하는 요인으로는 경기 둔화 우려, 부채 부담 증가, 환율 변동성 확대 등이 있으며, 중앙은행은 이러한 요인들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금리 인상 여부는 다양한 경제 지표와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결정되므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경제 뉴스와 전문가 의견을 참고하고, 중앙은행의 발표와 금융 기관의 상담을 통해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논의되고 있는 금리는 하향될것이라는 것이 대부분의 예상입니다.
하지만 이것도 하반기 금리에 대한 예상이므로 중간의 미대선이나 다양한 이벤트에 따라 결롸과 조정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물가 상승이 지속되고 있어 금리가 더 오를 가능성은 있습니다. 만약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오르거나 충분히 낮아지지 않는다면, 연방준비제도(Fed)는 금리를 더 인상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올해 하반기에는 금리 인하가 예상되기도 하며, 2024년 9월부터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경제 상황과 인플레이션에 따라 금리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 깊게 지켜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앞으로의 금리가 더 올라갈 가능성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경기 침체가 목전에 다가와있기에
금리를 올리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금리는 어느 정도 내려갈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