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O 자격이 실질 의미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한국에서 AEO 인증 기업이 대미 관세 협상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보도가 있던데, 우리 무역 실무에선 이 인증이 통관 리스크나 우대조건에 어떤 실질적 의미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AEO 인증이 겉으로 보기엔 그냥 통관 절차 빨라지는 정도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 현장에서는 그 이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단 세관이 신뢰하는 업체라는 표시이기 때문에, 서류 심사나 검사 비율이 눈에 띄게 줄어듭니다. 통관 지연 리스크도 확실히 낮아지고, FTA 원산지 검증 같은 민감한 사안에서도 세관이 좀 더 유연하게 대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최근 한미 간 협상에서 AEO 기업에 혜택을 확대하겠다는 얘기가 나왔던 것도 이런 맥락입니다. 관세 감면 자체보다는 사후검증 축소, 통관 패스트트랙 같은 실무적 이점이 훨씬 큽니다.
단순한 인증 이상으로 세관 신뢰 기반의 무역 안정성 확보 수단이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실무에선 체감되는 부분이 꽤 큽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수출입안전관리우수공인업체인 AEO 인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적잖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며 전사적으로 준비해야하는 등 어려움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주요 상대국과 AEO 인증 MRA를 체결한바 있으며, 미국으로 수출시 한국의 AEO로 동일한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상대국에서 수입통관시 검사비율 축소, 서류심사 간소화나 우선검사 대상으로 비 AEO 업체와 비교하여 통관적으로 신속한처리가 가능하기에 눈에 보이지 않는 이점이 상당합니다. 따라서, 해외에서 적용받기 위해서는 우리나에서 취득한 AEO 인증번호 등을 사전에 등록해야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aeo 인증을 받은 기업은 미국 통관 과정에서 서류 심사나 물리적 검사 비율이 낮아져 통관 지연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협상 결과에 따라 인증 보유 기업이 우대 세율이나 간소화 절차를 추가로 적용받을 가능성도 있어 관세 리스크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aeo는 거래 신뢰도를 높여 대미 수출 시 불필요한 리스크 비용을 줄이는 역할을 하며, 향후 관세 협상에서 혜택이 강화될 수 있으므로 인증 유지와 활용 방안을 사전에 점검해두는 것이 유리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AEO는 WCO의 Safe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국제 공급망 보안, 신뢰 증서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약 900여개의 기업의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 통관 시에도 검사 축소, 우선 처리, 담보 감소 등의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AEO 기업에 대하여 현재 미국에 대한 수출 관세를 낮춰준다는 것은 확인되지 않습니다. 다만 이러한 기업들에게 추가적으로 혜택을 준다면 그나마 현재 고관세의 시대에 다행이라는 판단이 듭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