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고독한날다람쥐154
고독한날다람쥐15423.03.02

까다롭고 예민한 6세 여자아이 교육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6세 외동 여아를 키우고 있는 엄마입니다.

저희아이는 자기의 생각을 조리있게 말을 잘 하고 사교성이 좋은 편입니다. 그런데 한번 고집을 피우면 잘 해결이 안되고

장소가 어디이건간에 자기 생각만 고집하고 꽥꽥 큰소리로 우는 편입니다. 맞벌이 부모로 할머니 할아버지가 대부분 케어해 주시는데 그래서 버릇이 없는걸까요? 평소에도 성격이 까다롭고 세심한 편입니다. 몇 가지 특징을 나열해 보자면,

1. 그래서 손이나 입술에 잔가시라도 있으면 뜯어야 직성에 풀리고 옷에도 실밥이 나오면 참지 못하고 해결을 해 줘야하는 까다로운 성격을 가졌습니다. 그래서 손과 입술을 자주 뜯고 (피가 난적도 많음) 하지말라고 해도 그때 뿐입니다.

2. 우유 집착도 심해서 자기전엔 꼭 데운 우유를 먹고 포만감 있는 상태가 되어야 잠이 들곤 합니다.

그래서 우유 온도도 점차 낮추고 있고 양도 많이 줄여가고 있습니다. 편식도 심하였는데 점차 좋아지고 있습니다.

3. 통잠도 거의 두돌 넘어서 잔 것 같으며 아직도 가끔 깨서 우유를 찾던지 아니면 뭔가 마음에 안드는게 있으면 말을 할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나 할머니가 알아주길 바라면서 그냥 꽥꽥 거리며 웁니다. 아무리 타이르고 설명을 해줘도 그때 뿐이고, 자기가 무엇을 잘못했는지도 잘 알고 있고 사랑이 고픈 행동을 많이 합니다. 예를들면 혼날때, 다정하게 친절하게 말해달라. 안아달라. 우리아가 착하지..등등..요구사항을 세세하게 합니다. 부모인 저희는 단호하게 하는 편이고요.

4. 유치원 생활도 잘 하다가 마음에 안드는 무언가 생기면 다른사람 (선생님, 친구) 설명을 듣지않고 자기말이 맞다고 우기고 화를 내고 큰 소리로 울어서 난감합니다. 지나가는 말로 자기는 화를 참기가 어렵다는 말을 하더라고요. 가끔 너무 화가나면 엄마, 아빠도 때리는데 나가서 친구들에게 그럴까봐 노심초사 합니다.

울고 떼쓰는 사건들이 분기별로 심하게 오는 것 같습니다. 이러다가 또 잠잠해 지고요.

5. 마지막으로 소변은 기저귀를 떼었지만 대변은 못뗀 상태입니다. 기저귀를 차고 변기까지는 앉아서 하지만 떼고는 절대 못하겠다고 합니다. 이게 부끄러운일인줄도 아는데 행동으로 옮기는게 어려운가 봅니다. 기저귀가 없다고하여 몇일을 참아 난리가 난적도 있어서 이렇게 억지로 하는건 어려울 것 같습니다. 7살에는 꼭 안하겠다고 하는데...괜찮을까요? 단체생활에 있어서도 불편함이 많습니다. 유치원에선 대변을 본적은 없지만...급할때도 있을텐데..부모로서 지혜롭게 헤쳐나가고 싶습니다.

평소에 책도 많이 보고 뛰어노는 것도 좋아하고 앉아서 인형놀이하는 것도 좋아합니다. 집중력이 매우 좋은편은 아니나 많이 산만한 편도 아닌 중간정도 인 것 같습니다. 전문가 상담을 2회 정도 하였는데 지능은 골고루 발달해 있고 언어적인건 1% 이내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래서인지 6세 수준의 대화 수준이 아닐때가 많습니다. 전문가가 봤을때 문제되는 성향은 아니라고 하시는데 주변 아이들 중엔 이런 아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그래서 단체생활 할땐 조금 조마조마 한 편입니다.

두서없이 썼는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예쁘고 지혜롭게 양육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 예민감의 표현보다는 불안감이나 안정감을 찾기위한 행동 패턴으로볼수있습니다.

    위처럼 예민감이 있다면 손이나 입술외에도 다른부분에 대해서도 모두 이러한 행동이 나타날것인데 그것이아니라면 불안감의 표현으로볼수있습니다.

    2. 행동패턴이 고착된듯합니다

    자신만의 수면패턴을 만든것으로 나타날수있습니다.

    3. 자기조절이 잘안되는 부분으로 볼수있으며

    자신의 요구하는것을 들어주기떄문에 이러한 부분에서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강화가될수있습니다.

    4. 3번과 비슷한것으로 자기조절성의 문제로 볼수있습니다. 스스로 감정을 컨트롤하지 못하여 몸이나 행동 소리지름 우는것으로 보일수있습니다.

    5. 예민감이 큰 아이라면 변기에 닿는것이 싫어서 그럴수있습니다.

    이럴땐 변기에 앉기 보다는 쪼그려서 대변을 누는것을 시작으로 훈련을 해보는것도 좋습니다.

    - 언어의 발달과 감정을 조절하는것은 별개의 것입니다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면 언어발달이 뛰어나더라도 표현을 못할수있습니다.

    흔히 성인에서도 볼수있는 것중 화가나면 말을 못하고 소리지르거나 물건을 부수거나 하는것이 이러한것으로볼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적으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기질”자체를 좋고, 나쁨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기질은 쉽게 바뀌지 않으니 바꾸려고 아이를 닦달하지 않아야 하며 아이의 기질을 파악 하셨다면 그 기질을 인정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까다로운 기질아이 양육 방법으로는

    우선은 이 아이의 기질은 호기심이 많아서 잠시도 가만히 있지 않고 주변을 적극적으로 탐색합니다. 이 때문에 매우 활동적이고 주의 산만해 보이기도 합니다.

    까다로운 기질의 아이를 키울 때는 활동적으로 놀이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안돼”,”하지마”와 같은 통제나 금지의 언어보다는 두 가지 이상의 대안을 제시해 아이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적으로 생활하는 것을 힘들어 할 수 있으니 하루일과를 융통성 있게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 입니다, 또한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감이 크다는 것을 고려하여 새로운 환경에 대해서는 여유 있게 미리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