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토지 고르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최근 전원주택으로 이사할 예정으로 시골에 좋은 토지를 어떤 것이 좋은지 어느정도 평수가 돼야 건물을 지을수 있는지를 전혀 모르겠습니다.
좋은 땅 고르는 팁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용도지역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농림지역은 건폐율이 20%이고
보전지역이나 생산관리지역은 20%
계획관리지역은 40%입니다
예를 들어 40평집을 짓고 싶다면 계획관리지역에 대지가 100평이면 되는데
농림이나 기타 보전지역이면 200평이 있어야 합니다
땅을 사실때 부동산을 잘선택해서 구입을 하시면 되고 처음부터 너무크게 짓는거 보다 알맞은 집으로 지어 보시는건 어떠실런지요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시골의 전원주택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ㅡ이해하기 싑게 20평 건물을 예상할 겅우는(생산녹지 및 자연녹지라 가정하면 용적율이 20%를 적용해야 하므로)100평의 토지가 필요하며 40평 건물을 예상시 200평의 토지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농지를 구하려면 농지원부를 만들어야하며 농업경영계획서를 제출하여 관련기관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또한 건물을 짖기 위하여 용도변경(농지를 대지로)을 신청하여야 하는데 이때 용도 변경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따라서 기존 전원주택을 매수하든지 그렇지 않으면 허름한 농기주턕을 구하여 새로이 건축하는 방법을 권장드립니다
그리고 촣은 땅의 구비조건은 용수로 및 배수 관계 및 농로 등의 접근성(트랙터 진입가능)이 농지구입의 기본조건이 되겠지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시골의 경우 농림지역일 경우 건폐율은 20 , 용적율은 80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런 경우 100평의 토지위에 20평짜리 4층까지 집을 지을 수 있습니다.
이사가실려고 하는 토지의 용도지역에 따라 건축규모가 달라지니 우선 그것부터 알아보시고,
토지는 최대한 모양이 사각형이 좋습니다. 또한 경사보다는 평지가 좋고, 도로에 접해야 건축이 가능하고,
또한 주변 교통이 좋은 곳이 좋고, 주변에 가스나 전기등의 인프라 시설이 잘 되어져 있는 곳이 좋고 비쌉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모든 토지에는 지을 수 있는 평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구매하기 전에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사이트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니 한번 보시길 바랍니다.
어린 자녀가 있으면 40~50평대가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전원주택은 물이 잘 빠져야함으로 위치도 중요합니다. 너무 낮은 지대에 짓지 마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좋은 토지를 고르는 방법은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 위치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교통 편의성과 주변 인프라, 예를 들어 마트, 병원, 학교 등의 접근성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토지의 지형과 토질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평지나 경사가 적당한 땅이 건축에 유리하며, 배수 상태도 중요합니다. 셋째, 법적 규제를 확인해야 합니다. 건축 가능한 면적과 용도 지역을 파악하여 원하는 건물을 지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