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늘격렬한딸기
늘격렬한딸기

전세값이 오르면 집값이 오히려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요?

전세값이 오르면 집값이 오히려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요?

왜 전세가격과 집값이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가 발생하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셋값이 오르면 보통 내집 마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집값도 상승하게 됩니다. 그러나 최근에 서울과 수도권 인기지역을 빼고는 높은 이율과 관망세로 아파트 가격은 떨이지는데 반해 전세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이상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향후 이율이 낮아지고 본격적인 투자 심리가 붙는다면 전세가와 집값 모두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이 갭이 크면 둘 중 하나 입니다.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을 따라가던가

    아니면 매매가격이 전세가격까 떨어지던가

    둘중 하나임으로 매매가격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격과 집값이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금리가 오르면 주택담보대출금리가 상승하게 되어 집을 사려는 수요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로 인해 집값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반면, 전세 수요는 여전히 높을 수 있어 전세가격이 오를 수 있습니다. 특정 지역에서 전세 수요가 급증하면 전세가격이 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집을 사려는 수요가 줄어들면 집값은 하락할 수 있습니다. 경제 상황이 좋지 않으면 사람들이 집을 사기보다는 전세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로 인해 전세가격은 오르지만 집값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주택 공급이 증가하면 집값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세 수요가 여전히 높다면 전세가격은 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