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대나무는 왜 단풍이 물들지 않는 건가요?

대나무를 보면 추운 겨울에도 초록색 잎을 유지하고 있는데요

대부분 나무들이 잎의 색이 변하는데

왜 대나무는 단풍이 생기질 않는 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대나무는 상록수, 잎이 떨어지지 않고 초록색을 유지합니다

    이는 대나무가 환경에 적응하며

    잎의 구조가 지속적인 광합성을 가능하게 하기 떄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대나무는 단풍이 물들지 않는 이유는 그 독특한 생리적, 생태적 특징에 기인합니다. 이는 대나무가 상록성 식물이며, 잎이 연중 교체되기 때문입니다. 대나무는 대부분의 활엽수와 달리, 상록성 식물로 분류되는데요, 상록성 식물은 잎을 연중 유지하며, 특정 계절에 일제히 낙엽을 떨어뜨리지 않습니다. 이때 상록성 식물의 잎은 일반적으로 두꺼운 큐티클층과 밀집된 조직을 가지고 있어, 물 손실을 최소화하고 혹독한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습니다. 단풍은 낙엽수(잎이 떨어지는 나무)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나무가 겨울을 대비하여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잎의 엽록소를 분해하면서 나타납니다. 대나무는 상록성 식물이기 때문에 겨울철에도 잎을 유지하며, 엽록소가 분해되지 않아 단풍이 생기지 않습니다. 또한 대나무는 잎을 한꺼번에 떨어뜨리지 않고, 연중 조금씩 새 잎으로 교체합니다. 따라서 대나무 잎은 한 해 내내 초록색을 유지합니다. 이와 같은 점진적인 교체 방식은 에너지 효율적이며, 대나무가 자생하는 온대 및 열대 지역에서 적합합니다. 대나무는 주로 온대 또는 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극단적인 추위를 견디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후에서 적응해 살아갑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잎을 유지하는 것이 낙엽을 떨구는 것보다 생존에 유리합니다. 대나무처럼 단풍이 생기지 않는 상록식물에는 소나무, 전나무, 삼나무와 같은 침엽수들이 있습니다. 이들 식물 역시 추운 겨울 동안에도 잎을 유지하며,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채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대나무는 겨울이되도 엽록소를 잃지않고

    광합성을 지속해서 푸른색을 띱니다.
    또한 단품의 색을 낼수있는 카르티노이드나 안토시아닌같은

    다른 색소들도 가지고있지 않아 단풍이들지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대나무안에는 단풍이들게하는 카르티노이드나 안토시아닌이 들어있지않아 색이변하지 않습니다.

  • 대나무는 사철 푸른 상록 식물이기 때문에 단풍이 들지 않습니다. 이는 대나무 잎이 겨울에도 광합성을 계속하며 오래 유지되도록 적응했기 때문입니다. 일반 나무와 달리 잎을 한꺼번에 떨어뜨리지 않고, 점진적으로 교체하면서 연중 초록색을 유지합니다.

  • 대나무가 단풍이 들지 않는 이유는 대나무의 독특한 생태적 특징 때문입니다.

    사실 대나무는 나무처럼 생겼지만, 사실 풀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그래서 나무는 형성층이 있어 굵기가 계속 굵어지고 나이테가 생기지만, 대나무는 형성층이 없어 굵기가 일정하고 나이테가 생기지 않습니다.

    그렇다 보니 대나무 잎은 다른 나무 잎보다 수명이 짧아 가을이 되어도 다른 나무처럼 잎이 노랗게 변하거나 붉게 물들 시간적 여유가 부족합니다.

    게다가 대나무 잎은 겨울에도 엽록소를 유지하여 광합성을 계속하기 때문에 잎이 떨어지지 않고 푸른색을 유지합니다. 즉, 대나무는 나무와는 다른 생장 방식과 잎의 특징 때문에 단풍이 들지 않고 사계절 내내 푸른 잎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대나무는의 특성 때문입니다. 대나무는 낙엽이 아닌 상록수 식물이기 때문에 단풍이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