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에 항상성이 중요한이유가 뭔가요??
사람 피부에 날카로운 것에 배이면 피가 납니다
그론데 다른사람보다 혈약응고가 더딘것은
항상성에 문제인가요?? 아니면 혈액자체에 문제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혈액응고는 항상성으로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혈액응고에는 여러 단계의 반응이 작용하는데 이 과정 중 응고에 관련된 어떤 부분에서 문제가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인체에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은 몸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한다는 것과 동의어입니다. 항상성이 중요한 것은 그것을 유지하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날카로운 물체에 베이고 나서 혈액 응고가 더딘 것은 응고장애 및 혈액 질환을 의심해보아야 하는 혈액 자체의 문제이며, 큰 의미에서 보았을 때에 질병이 있다는 것은 항상성이 깨진 것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항상성에도 문제가 생겼다고 보아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항상성이라는 의미는 우리 몸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는 특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36.5도 정도의 체온을 유지하려고 하며 이 체온이 떨어지거나 높아졌을때 몸에서 열을 내거나 열을 몸 밖으로 내보내서 36.5도를 유지하는걸 말합니다.
혈액응고는 항상성 유지에 해당하는 부분이 아닙니다.
혈액응고는 혈액속에 들어있는 혈소판과 혈액응고인자에 의해 결정됩니다.
혈액응고와 관련된 피검사를 하면 BT(bleeding time)이라고 해서 응고시간, PT, aPTT라고 해서 응고인자와 관련된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혈액응고가 실제로도 많이 느려졌다고 느껴지신다면 내과 진료를 받아보시고 검사를 한번 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대부분은 혈액 응고 기능에 문제가 없습니다. 상처의 종류에 따라 지혈의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간혹 약물에 의해서 지혈이 늦어지는 경우도 있구요. 항상성이라는 개념을 적용하기는 어렵네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피가 나서 지혈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혈액응고인자가 부족하거나 외부에서 아스피린이나 항응고저해제 등을 복용할 경우 혈액응고가 더딜 수 있습니다. 또한 몸안 신체 기능에 문제가 생긴다면 혈액 응고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