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매우새롭고특이한글
매우새롭고특이한글

건강검진에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고 나왔는데, 이로 인해 생길 수 있는 구체적인 질병이나 증상, 장기적으로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성별
남성
나이대
39
기저질환
기타 강박장애
복용중인 약
리스페리돈 정, 뇌피졸 정

최근 건강검진에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 범위를 초과했다는 결과를 받았는데, 정확히 어떤 점이 위험한 것인지 잘 몰라서 걱정이 됩니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심장병이나 뇌졸중 같은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들었는데, 실제로 어떤 질병들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도 문제가 생길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콜레스테롤이 높다는 것이 단순히 식습관 문제인지, 유전적인 요인도 있는 것인지 알고 싶고, 평소 생활에서 어떻게 관리하면 수치를 낮출 수 있는지도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관련해서 식단, 운동, 약물치료 여부까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콜레스테롤이 높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누구나 걱정이 될 수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에서 여러 가지 필수적인 역할을 하지만, 수치가 높으면 몇 가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흔히 언급되는 걱정은 심장병과 뇌졸중인데, 이유를 들자면, 높은 콜레스테롤은 동맥경화를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동맥 내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현상으로, 결과적으로 혈액의 흐름을 제한하여 심근경색이나 뇌졸중과 같은 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없을 때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상태가 되면 시간이 흐르면서 심장과 혈관에 서서히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없더라도 꾸준히 관리하고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콜레스테롤의 수준은 단순히 식습관의 문제뿐만 아니라 유전적인 요인도 관련이 있다는 점을 알아두세요. 가족 중에 관련 질환이 있는 경우 좀 더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콜레스테롤 관리를 위해서는 평소 생활 습관의 수정이 중요합니다. 식단에서는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을 줄이고, 과일, 채소, 통곡물 등을 다양하게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정기적인 운동은 나쁜 콜레스테롤을 줄이고 좋은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일주일에 적어도 15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을 목표로 해보세요.

    약물치료는 생활 습관 개선만으로 콜레스테롤 수치가 조절되지 않을 때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엔 전문의와 상담하여 자신에게 맞는 치료법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고 해서 특별한 증상이 생기지는 않습니다.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 제 5판

    Kor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emia (the 5th edition)

    위의 자료에서 위험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 여부는 수치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위의 표에서 확인하실 수 있는 것과 같이 대략 LDL이 160mg/dL 이상이면 약물치료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LDL 수치가 이보다 낮더라도 기저질환이나 생활습관에 따라 약물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고지혈증 생활습관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식단입니다.

    위의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며 대부분 체중감량을 목표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술 담배는 중단하셔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