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팔팔한푸들72
팔팔한푸들72

왼쪽 넷째발가락 골절 가능성 있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28
기저질환
.
복용중인 약
.

어제 밤 침대모서리에 네번째발까락이 꺾이듯이 부딪혔어요. 어느정도였냐면 살이 터질정도로 쎄게 확 부딫혔거든요..

근데 멍은 조금 들었는데 붓기는 전혀 없습니다.

현재 가만히 있어도 쑤시는것같은 증상? 그리고 걸을때 조금 불편하구요 발가락이 틀어지거나 변형되진 않은것 같아요.

타박상같기도 한데 가만히있을때도 아프니까 골절인가 싶고.. 그러기엔 붓기가 없고 멍도 미미하구요. (사진보다는 진합니다) 지금은 이 사진보다 멍이 쪼금 퍼졌어요. 발가락을 움직일순 있어요 타박상일까요? 발가락 사이 까만건 살터진 핍니다..

  • 1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강한 충격을받았다면 골절을 의심해볼수있는데요 지속적으로 통증과불편감이있다면 집에서관리하기보다는 병원에서 검사와 치료를받아보는걸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왼쪽 넷째 발가락이 꺾이듯이 부딪혔고 현재 통증이 있으며 걸을 때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골절 가능성도 있지만 붓기가 없고 멍이 미미하다면 타박상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발가락을 움직일 수 있다면 골절이 아닐 수도 있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에서 xray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골절보다는 외상으로 인한 타박상 이신 것 같기는 합니다.

    냉찜질을 해주시고 발가락에 부하를 주거나 통증을 유발하는 동작이나 움직임은 하지 마시고 쉬어 주시는 것이 좋으며

    1-2주가 지나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지신다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정형외과 전문의입니다.

    붓기나 멍이 심하지 않다면 골절가능성은 낮지만

    미세골절도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까운 병원에서 엑스레이 검사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은 타박상을 입으신 것으로 보이는데요, 멍이 퍼지는 것은 시간 경과에 의해서 피하조직 사이로 출혈이 퍼지는 것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손상이 아닌것으로 생각됩니다. 골절의 확인을 위해서 병원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염증이나 붓기가 있다면 아이스팩을 적용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

    살이 터진정도에 충격이면 적은 충격은 아닌걸로 추정됩니다.

    영상의학적 검진을 한번쯤은 하는걸 추천드립니다. 사지관절은 의외로 적은 충격에도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빠른 시일내에 방문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환자분의 건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답변은 참고용이며, 진단을 대체할수 없음을 말씀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검사를 하기 전까지는 골절여부는 알 수 없습니다

    단지 골절의 경우 통증이 심하고 붓기도 심합니다

    물론 아주 심한 골절의 경우 통증이 심하지 않고 붓기는 심한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는 딱 봐도 골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환자분의 경우 통증이 심하시지 않고 붓기도 심하지 않아서

    골절의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어제 밤에 있었던 일이면 골절이 아니더라도 아직까지 통증이 있을수있습니다. 고로 움직일때 더욱 심해지는지를 잘 체크해보시고 가만히 있어도 아픈것은 3일 정도까지 지켜보고 계속 아프거나 증상이 점점심해진다면 골절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금 육안상으로 보기에는 제한적이나 3일을 기점으로 휴식시에 통증이 동반한다면 병원을 가셔서 진료받아보시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이런 경우에 저희도 X-ray 찍어보지 않으면 골절이 있는지 여부를 장담할 수 없습니다.

    이런 상태로 찍어보면 골절이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프신 부위를 참고 좀 눌러봤을 때 극심한 통증이 유발되면 골절로 보는게 맞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