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붉은연어
붉은연어

자녀 훈육은 언제부터 시작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자녀 훈육이라는게 대체 어느시점부터 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단순히 돌 지난 자녀를 벌써부터 훈육을 해도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들의 만3세 이전에는 훈육을 하더라도 양육자의 말을 알아들지 못하기 때문에 효과가 없다고 합니다.

    보통은 만3세 이후부터 훈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돌이 지난 아이에게는 아이의 마음을 읽고 그것을 언어로 표현해주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 훈육은 세상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태도, 더 나아가 사회적 규범과 행동응 가르쳐주며 기르는 것을 의미하며 올바르게 성정을 하도록 가르치는 것입니다. 만3세 이전의 아이들은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부모의 감정과 분위기만 느끼기 때문에옳고 그름만 알려주는 정도만 가능합니다. 만 3세 이후부터는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나 질서, 자기조절, 규제등을 배우기 시작하는 나이이기 때문에 부모와의 소통이 어느정도 되는 만3세정도에 훈육을 하는것이 효과적이기는 합니다. 아이를 훈육할때는 아이가 이해 할수 있는 수준에서 해야하며 성장속도와 특성을 고려해서 적절한 훈육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일반적으로 만 2세 이후부터 본격적인 훈육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시기에는 아기가 자기 주장이 강해지고 떼를 쓰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이때 부모님이 일관되고 단호한 태도로 훈육을 해야 하며, 감정을 조절하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너무 어린나이에 강제로 억압하거나 체벌을 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아이의 발달 단계와 연령에 맞게 적절한 방식으로 훈육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부모님 스스로도 올바른 육아 지식과 태도를 갖추고 있어야 하며, 아이와의 소통과 공감을 통해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각 가정마다 문화와 교육 철학이 다르므로, 우리집만의 훈육 규칙을 만들고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훈육 과정에서는 인내심과 자제력이 필요하며, 아이가 잘못했을 때 비난하거나 혼내는 대신 이해하고 감싸주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 말귀를 알아들을때부터 옳고 그름에 대해서는 알려주는게 좋습니다.

    3세 이후부터는 칭찬과 함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설명을 해줘야 합니다.

    8세 이후부터는 규칙을 정하고 책임감을 함께 길러줘야 합니다.

  • 아이의 훈육은 아이가 말귀를 알아먹는 시기 부터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3세 때 하시면 좋겠습니다.

    세 살 버릇 여든까기 간다 라는 속담처럼 이 시기에 아이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아주지 않으면 습관이 되기 때문에

    훈육은 만3세 시기에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자녀의 훈육의 경우 나이와 상관이 없는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아주 위험한 일이라면 무조건 크든 적든 훈육을 해주셔야 됩니다. 그래야 말귀를 잘 알아먹지 못하더라도 아이가 조심히 할것이고 특히나 범법행위나 남에게 피해를 주면서 상처를 줄 수 있는 행동의 경우 강력하게 훈육을 해주셔야 위험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자녀훈육시기는

    1.보통36개월이후부터훈육이가능

    2.이전에는 위험한것 해서안되는것위주로 교육및통제하기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훈육은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스스로 판단해서 행동할 수 있게 하는 것에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소통이 되는 시점부터 훈육을 하시면 되는데요 이 때 혼동하지 말아야 할 점이 훈육이 혼내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때로는 엄하고 단호할 필요는 있지만 아이를 혼내는 것이 훈육이 아닙니다. 아이가 알아들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알려주고 결국 습관이 되어 자연스럽게 행동을 할 수 있게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돌지난 자녀는 훈육이라기보다 많은 것을 보여주고 알려줘야 할 듯 합니다. 훈육도 잘못된 것을 바르게 알려준다는 것으로 본다면 같은 것이라 생각 할 수도 있겠네요. 아이들은 어릴때부터 해도 되는 것 하면 안되는 것 바른 것 바르지 않은 것을 부모의 기준에 의해 배우기 때문에 많은 것을 알려준다는 의미의 훈육은 어릴때부터 계속 해야 한다고 생각되긴 하네요.

  • 아기 훈육은 보통 만 3세 이후인 36개월 이후에 시작을 해도 충분하다고 하는데요. 대체적으로 24개월 이전까지는 위험한 상황이 아닌 이상 아기들이 원하는 것을 들어 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많은 부모님들께서 오해하고 계신 부분 중 하나가 훈육이 단순하게 아이를 혼내거나 다그치는 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종종 계십니다.

    훈육이라는건 혼을 내거나 벌을 주는 것이 아닌 잘못된 행동에 대한 가르침입니다. 아가들이 위험한 행동을 한다면 혼내는 것이 아니라 "안돼!","그만!" 정도의 훈육이 적당하다고 합니다. 이렇듯 훈육은 아이가 인지 능력을 갖추기 시작한 때부터 하면 좋습니다. 보통 두 돌은 지난 후에야 훈육을 하면 효과가 있다고 알고계시면 되겠읍니다. 이 또한 아기들의 인지발달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