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왜 주식보다 코인이 더 위험하게 느껴질까요?
주식은 그나마 회사라는 실체가 있지만 코인은 최소한의 그런 실체조차 없이 오로지 투자자들의 심리에 의해서만 움직이기 때문에 변동성이 훨씬 더 크게 위험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20
5.0
1명 평가
0
0
전세 재계약시 확정일자는 기존 확정일자로 유지?
갱신시 보증금의 증액이 없고 기존과 같은 금액이거나 감액해서 연장 계약을 했다면 확정일자는 다시 받지 않아도 됩니다.이전에 받은 확정일자의 효력이 계속해서 이어집니다.
경제 /
부동산
25.10.20
0
0
2년짜리 전세계약이 자동갱신된 상황이면 앞으로 2년만 더 살 수 있나요, 아니면 4년을 더 살 수 있나요?
만기 2개월전까지 갱신 여부에 대해 협의를 해야 하고 그 기간이 지나면 묵시적갱신(자동갱신)이 됩니다.위 경우는 묵시적갱신이 된 경우로 묵시적갱신의 경우 이전과 같은 조건으로 연장이고 기간은 2년으로 봅니다.
경제 /
부동산
25.10.20
0
0
집소유주는 보유세같은걸내는건가요?
집을 등기해서 소유하고 있으면 보유세가 나옵니다.보유세는 보유하는 동안 내는 세금으로 보통은 재산세가 그에 해당하며 고가의 주택 같은 경우는 연말에 종합부동산세를 추가로 내서 재산세+종부세를 합쳐서 보유세라고 부릅니다.재산세는 집의 시세대로 비싸면 많이 싸면 적게라도 다 내는 세금입니다.
경제 /
부동산
25.10.20
0
0
전세집 집주인이 다음 세입자때문에 퇴실을 당겨달라고 합니다
다음 세입자 날짜에 맞춰서 보증금을 반환받고 이사를 나가기로 협의된 상황이라면 그날로 전세 계약이 종료되는것입니다.보증금을 반환받았다면 그날 이사를 나가는게 맞습니다.
경제 /
부동산
25.10.20
0
0
입주권과 분양권은 무슨차이인가요?
재개발이나 재건축을 하면 기존 집을 허물고 다시 짓습니다.그때 그 기존 집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이 조합원이 되며 조합원들에게 새 아파트에 들어갈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지는데 그게 입주권입니다.그에 반해 조합원들에게 집을 배정하고 남은 주택을 일반분양을 하게 됩니다.일반 분양이 우리가 흔히 아는 청약을 말하는데 청약에서 당첨된 사람들이 새아파트에 들어갈 수 있는 권리가 분양권입니다.
경제 /
부동산
25.10.20
0
0
현재 주택임대차보호법상 4년은 보장이 돼 있는데 최초2년에서 추가2년 갱신될 때 보통 임대료를 올려주나요?
최초 갱신은 임차인이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할 수 있어서 대부분 임차인이 원하면 연장은 되는 편입니다.임차료 인상은 너무나 케바케라 단정지어 말하기가 어렵습니다.임대인 성향에 따라 한번 임대주고 나몰라라 하는 주인도 많아서 묵시적갱신도 많이 되는 편인데 인상을 하게 되면 보통은 제한선인 5% 정도 합니다.하지만 대부분은 현재 전세 시세에 따라 인상을 하게 되고 전세 시세가 2년전보다 내려간 상태라면 내려서 갱신하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경제 /
부동산
25.10.20
0
0
부동산 갱신시 5%는 전세 월세 모두 포함인가요?
갱신시 5% 상한은 임차인이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경우와 임대인이 주택임대사업자인 경우 두가지입니다.5% 적용은 보증금과 월세 각각 적용합니다.전세에서 월세로 전환시에는 전월세전환율에 따라 계산합니다.
경제 /
부동산
25.10.20
0
0
투자로 실물 금이 나을지 금 etf가 나을지고 헷갈려요!!
투자목적이면 ETF입니다.실물금은 진짜 전쟁등의 상황 같은때에나 좋지 투자로는 부수비용이 많이 들어서 크게 메리트 없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10.20
0
0
적립식 금투자가 요즘 많던데 일반 적금처럼 자동이체 되는건가요??
자동이체를 해 두시면 일반 적금처럼 매달 돈이 빠져 나가고 그 돈으로 금에 투자되고 합니다.금도 당연히 시세가 오르락 내리락 하는 투자이기에 시세 변동이 크면 손해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5.10.20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