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코로나 19로 주어지는 무급휴가/유급휴가? 사업주 재량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구고신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해당 사업체가 휴업을 하게된 사유 또는 직원들에게 휴가를 부여한 사유가 어떠냐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다만 직원에게 무급휴가를 사용하도록 강요할 수는 없습니다.아울러 코로나 사태로 직원들에게 유급휴가를 부여할 경우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제도도 있으니 참고 해주세요
고용·노동 /
휴일·휴가
20.03.17
0
0
한달도 안되서 퇴사하게 되면 급여 책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구고신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이..."수습기간 90% 한달 기간동안 다니다가 2주만에 퇴사"는 수습기간 동안 최저임금의 90%로 한달동안 받기로 하였는데 2주만에 퇴사를 했다는 건가요?수습기간이라고 무조건 최저임금의 90%를 지급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1년이상의 계약기간으로 3개월 이내이며, 단순 노무 업무가 아니라면 최저임금의 90%로 지급할 수 있으며, 질문 하신 사례의 경우 일할계산해야겠죠.
고용·노동 /
임금·급여
20.03.17
0
0
퇴직금 중간정산 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구고신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퇴직금을 중도정산 받는 범위에 대해서는 법규정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때문에 중도정산의 사유만 충족하신 상태라면 질문자이의 받을 퇴직금의 범위내에서 스스로 정해서 중도 정산을 받으실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답변 참고해주세요
고용·노동 /
임금·급여
20.03.16
0
0
육아휴직 해외여행시 사전보고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구고신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자녀와 동반한 해외 여행이라면 특별히 문제될건 없어보입니다.육아를 꼭 국내에서 해야 하는건 아닐뿐더러, 해외에서 아이들에게 얼마든지 좋은 경험을 선사할 수 있으니깐요일부 사레에서는 아이를 조무보에게 맡기고 8개월간 해외여행을 가서 육아휴직급여 부정수급 사례로 판단받은 경우가 있지만, 질문자님의 경우 이런 걱정은 안하셔도 될거 같습니다.공무원의 경우에도 휴직의 목적외 사용이 금지되기 때문에 미리 휴직자복무상황 신고서를 작성하는것이 맞다고 판단됩니다. 법조문에서는 이상 상황 발생시 즉시라고 규정되어 있네요
고용·노동 /
휴일·휴가
20.03.16
0
0
퇴직금을 받을 수 없는 노조 전임자의 경제적 손실은 어떻게 보상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구고신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전임자의 법적 지위는 휴직중인 자와 비슷한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휴직한 사람도 퇴직할때는 평균임금을 따로 게산하고 퇴직금을 받듯이 전임자라 하더라도 퇴직금은 지급 받습니다. 아울러 근면자의 경우에는 지급받는 금품이 임금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대법원 판례도 있습니다.사실 노조 전임자라는게 노동조합의 임원으로서 2년의 기간동안 하는게 보통인데, 퇴직을 앞두고 전임자를 하는 경우가 그리 흔하지는 않은거 같습니다.
고용·노동 /
임금체불
20.03.16
0
0
출퇴근 시간 타각에 따라 임금 책정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구고신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주52시간 제한은 말 그대로 시간에 대한 제한입니다.근로자가 피곤하니 이 이상 일 시키지말라는 거죠.그렇다고 그 이상 일 한것에 대해 대가를 주지 말라는 얘기는 아닙니다.요즘 근로시간 개별적으로 기록하는 어플들 많으니 미리미리 기록해 두시길 추천 드립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0.03.16
0
0
퇴직자 입사일 연차에 관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구고신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연차휴가와 연차휴가수당의 관계는, 연차휴가가 발생하면 그 휴가를 사용할 기간이 남았냐 안 남았냐에 상관없이 연차휴가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3번의 예시에서는 1년을 근무하였기 때문에 연차휴가가 발생하지만, 4번의 예시는 1년을 근무하지 않았으니 연차휴가 가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수당도 지급할 필요가 없습니다.참고해주세요
고용·노동 /
임금·급여
20.03.16
0
0
포괄연봉제로 근로계약서를 체결시, 야근에 대해서는 전혀 수당을 받을 수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구고신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포괄임금제를 한다고 해서 일체의 연장 야간 근로수당을 받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이 포괄임금제라는게 기업에서 어떻게 체결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긴 합니다만...예컨데 월 30시간 정도의 연장, 야간, 휴일 근로를 포괄하여 지급하는 임금체계라고 하면해당 시간을 초과해서 연장근로나 야간근로를 했을 경우 차액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실 근무시간이 주52시간을 넘은 경우에도 법위반은 물론이며 초과금액을 청구 할수 있습니다.답변 참고해주세요
고용·노동 /
임금·급여
20.03.16
0
0
제가 주휴수당을 받을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구고신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주2회 9시간씩 근무하시는거라면 소정근로시간은 8시간이겠네요.소정근로일 이틀을 개근하고 주 15시간 이상 일하고 다음주에도 근무가 예정되어 있다면 주휴수당 지급대상이 맞습니다.질문이 좀.. 복잡하게 적어놓으셨는데우선 언급하신 판례는 주휴수당이 최저임금을 결정할 비교대상 임금에 포함되냐 안되냐를 언급한 판례입니다..실제 질문자님이 게약한 금액이 얼마이며 그에 따른 시간으로 계산하세요
고용·노동 /
임금·급여
20.03.15
0
0
휴업수당 관련하여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구고신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그냥 받으신 금액의 70%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저 금액자체가 질문자님이 근로를 제공한 날 + 주휴수당 포함된 금액이며, 그렇다고 원래 일하지 않은 날까지 회사가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니깐요. 휴업수당과 주휴수당에 대해서는 휴업으로 인해 1주간 소정근로일 전부 출근을 하지 못했다면 주휴일도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휴업은 회사의 귀책사유로 인해 근로자가 근로제공을 할 수 없었던 것이기 때문입니다.답변 참고해주세요
고용·노동 /
임금·급여
20.03.15
0
0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