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6월을 호국보훈의 달이라는 명칭을 언제부터 사용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충일이 지정됐던 1956년 망종이 6월6일이었다고 합니다. 현충일이 되면 선열들의 고귀한 희생을 기리기 위해 조기를 게양하고 10시에는 1분간 추모와 감사의 시간을 가지며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한 분들을 기억하는 겁니다.-출처: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학문 /
역사
23.06.01
0
0
장수왕때 지두우 분할 점령 스토리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479년 고구려 장수왕이 지두우를 유연과 분할 점령하려 하였다고 중국인이 쓴 『위서(魏書)』에 쓰여 있다. 나중에 지두우가 나타나지 않고 고구려의 영토가 넓어진 것을 보아 지두우족이 고구려에 복속된 것으로 본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6.01
0
0
미국의 전 대통령 워런 하딩에 대해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립주의를 표방한 그로서는 아이러니한 사실이지만,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하딩의 최대 업적은 세계 최초의 군축조약인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을 성공적으로 마무리지은 것이다. 이 조약 덕분에 미국은 영국과 함께 세계 1위의 해군력을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일본의 해군력을 억제하는데 성공하여, 1923년 경에 미국과 일본 간의 무제한적인 해군군비경쟁으로 인해 전쟁이 날지도 모른다는 수많은 억측들을 (최소한 20년 가까이) 잠재웠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01
0
0
루이 14세 양식이란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절대군주였던 루이 14세기 국왕의 존엄과 영광을 나타내기 위하여웅장한 규모와 화려한 장식의 베르사이유 궁전을 건축함으로써 주도된프랑스 바로크 양식.공적인 생활이 중시되어 이를 위한 살롱 등이 많이 건축되었으며 직선과 콤파스에 의한곡선이 특징적이다.벽면은 원기둥, 벽기둥등의 기둥을 비롯하여 회화, 조각,태피스트리,그리고 당시로서는 고급재료인 거울 등을 풍부히 사용하였다.천장은 모서리를 둥글게 하여 높이 올렸으며 작은 패널을 여러 개 이어 분이거나 천사의 그림을 그려 넣었다.가구는 방의 규모에 비레하여 그 만큼 컸으며 웅장하고 사치스러운 조각과 금도금을 사용하였다.프랑스는 이탈리아에서 바로크를 받아들였으나프랑스인 특유의 비례감으로 재해석하여 표현함으로써 독창성을 발휘하였으며,루이 15세와 루이 16세 양식 등의 세련된 아름다움에 큰 영향을 미쳤다.-출처:네이버 블로그
학문 /
미술
23.06.01
0
0
발해와 고구려를 중국에선 자기네 나라 역사라고 우기는데, 어떤 근거로 주장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에선 발해 인구의 대다수가 말갈족이었고, 말갈족은 중국의 소수 민족이기 때문에 발해는 중국사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러시아에선 말갈족이 러시아 영토에 살았고 발해의 영토 대부분이 연해주에 걸쳐 있었다며 러시아도 영향을 끼쳤다고 주장하고 있다.-출처:네이버 블로그
학문 /
역사
23.06.01
0
0
인도는 왜 오른손으로 밥을 먹고 왼손으로는 똥을 닦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는 전통적으로 왼손을 불결하다고 생각하고 오른손을 청결하다고 생각한다. 밥은 항상 오른손으로 먹으며 인도식 빵을 찢을 때도 오른손만 이용한다.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는 내 오른손이 누가 쓴지 알 수 없는 대중식당의 숟가락과 포크보다 깨끗하다 생각하는 사람이 여전히 많다.-출처:노컷뉴스
학문 /
미술
23.06.01
0
0
향약이라고 하는게 구체적으로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향약은 향촌 규약(鄕村規約)의 준말로, 지방의 향인들이 서로 도우며 살아가자는 약속이다. 향약의 시초는 중국의 「여씨향약」이지만, 조선시대에 보급·시행된 향약은 우리의 전통적인 공동체적 상규상조의 정신에 유교적 가치를 더하여 재편한 것이다. 유교적 예절과 풍속을 향촌사회에 보급하여 도덕질서 확립과 미풍양속 진작을 도모하고 재난시의 상부상조를 위한 규약인 것이다. 조선 초기부터 향약을 널리 보급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었고 16세기에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 하지만 향약은 조선시대 양반들의 향촌자치이자 하층민 통제수단이라는 한계점을 가진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6.01
0
0
미술 작품을 그리는 방법중에서 아크릴화,유화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화는 물이 아닌 기름과 함께 사용하며 이것을 위해서는 붓을 세척하는 석유와 유화 특유의 탁함을 맑게 사용하게 하는(물 역할을 대신하는) 기름, 최소 두 가지의 기름을 함께 두고 작업을 합니다. 마르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며 수채화와는 다르게 계속 수정이 가능합니다. 마르는데 3~4일 길게는 일주일까지 걸린답니다! 오일과 함께 섞어 그리기 때문에 잘 마르지 않는데요! 그래서 물감을 칠한 후에 색을 자연스럽게 섞기 좋다는 장점과 잘 마르지 않아 오래 작업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반면에 아크릴은 기름으로 그림을 그리는 방법인 유화가 마르기까지 오랜 시간이 들고 그로 인해 수정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특징을 보완하기 위하여 나온 물감이며, 기름이 아닌 물과 함께 그리는 물감입니다. 마르는데 3분이면 된답니다. 또한 유화에 비해 사용이 간편하고 물감과 물만 있으면 된답니다.-출처:네이버 블로그
학문 /
미술
23.06.01
0
0
조선시대 숙종때 장희빈은 어떤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희빈 장씨, 장희빈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는 조선 숙종의 빈으로, 제20대 왕 경종의 어머니이다. 본명은 장옥정, 본관은 인동이다. 아버지는 역관 출신인 장형이며, 어머니는 장형의 계실인 윤씨이다. 역관 장현의 종질녀이다. 조선 왕조 궁녀 출신으로 왕비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여인이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6.01
0
0
신유박해 사건이 어떤것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유박해는 1801년에 발생한 조선 천주교 박해 사건이다. 시파·벽파의 정치 투쟁에서 시파 제거를 오랜 숙원으로 한 벽파가 천주교 탄압을 명분으로 일으킨 사건이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6.01
0
0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