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최저시급으로 월급여받을시에 세후실수령은 얼마입니까?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세전금액으로는 8,720원기준 209시간을 곱한 1,822,480원이 세전금액입니다. 세후금액으로는 국민연금 4.5%공제, 고용보험 0.8%공제 건강보험 3.43% 장기요양보험료 11.52%(건강보험 기준) 소득세 주민세 3.3%를 제한 금액 약 1,596,034원이 지급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06
0
0
근로장려금을 신청하려는데 자격요건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장려금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소득이 있다는 사실을 사용자(사장)가 세무서에 신고해 주어야 합니다.신고 방법은 근로소득, 일용근로소득, 사업소득 등으로 신고할 수 있는데 원칙은 근로소득자로 신고해 주는 것입니다.임금을 받는 대신에 노동을 제공해 주는 근로자이므로 4대보험을 가입하고 근로소득으로 신고해 주는 것이 정상적인 방법입니다.4대보험 가입이 어렵다면 사업소득(3.3%원천징수)으로라도 신고하셔야 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06
0
0
연보에 연차비가 포함되는게 당연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포괄임금제의 경우 연봉에 연차를 포함하여 지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포괄임금제에 연차를 포함할지 여분느 회사마다 상이합니다.다만 회사의 연차수당은 통상임금으로 기본적으로 계산하므로 시간급이 오르게되면 당연히 연차수당도 올라가게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06
0
0
근로계약서 미작성 신고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말씀하신 사항 처럼 3개월 미만은 해고예고가 적용되지 않아서 해고예고수당을 지급받을 수 없습니다. 다만 근로계약서 미작성의 경우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기 때문에 관할 노동청의 신고가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1.03.06
0
0
퇴직금 정산조건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중간에 퇴직금을 수령받았다면 그 이후부터 새로이 기산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월부로 퇴직금을 수령하셨다면 2개월부터 새로이 기산하여 1년이 넘은 순간 부터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조건에 해당하게 됩니다. ^^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06
0
0
60세이상 촉탁근로계약시 퇴직금?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회사에서 퇴직금, 퇴직연금을 정할지는 회사의 재량입니다. 또한 1년 이상의 근속기간을 근무한 근로자라면 반드시 퇴직금을 지급을 해야하며 퇴직금 미지급시 임금체불에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06
0
0
육아휴직 거부 급여일 급여 미지급시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임금지급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14일 이내 미지급시 노동청의 진정을 통해 제기가 가능합니다. 노동청의 진정을 제기하면관할 감독관이 배정되어 이후 절차에 도움을 받게 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체불
21.03.06
0
0
1월 입사자 사대보험 신고누락.. 월급에서 보험료 공제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건강보험의 경우 입사월 초에 입사한 경우가 아니라면 4대보험을 공제하지 않습니다. 다음달에 공제를 하고 고지가 안되서 누락된 부분이 있으면 소급해서 공제를 하시되, 근로자에게 고지하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06
0
0
2년이상 장기 근속자 퇴직시 기존 잔여 연차휴가 + 14일 추가 휴가 맞는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새로운 노동법에 추가휴가 보상이라고 생긴 사항은 없습니다. 다만 1년 미만에는 연차가 11개가 부여되며, 1년이상의 경우는 연차가15개 3년차 이상 부터는 1개씩 가산해서 지급을 해야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06
0
0
공휴일에 근무할때 대체휴가를 부여하는데 회사에서 일방적으로 결정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맞습니다. 대체휴가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근로일을 특정해야 하며 근로자의 동의가 있어야 합니다. 대체휴가에 대하여이러한 근로자의 동의 없이 행하여지는 경우 무효이며, 그에 따른 휴가에 대한 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을것으로 사료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06
0
0
847
848
849
850
851
852
853
854
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