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증권회사 이벤트 응모했는데 ETF 2주를 준다네요 ETF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내 ETF는 상장지수펀드 입니다. 주식과 마찬가지로 언제든지 사고 파는게 가능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0
0
0
정부는 왜 예금금리를 못 올리게하나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예금 금리가 올라가면 자연스럽게 대출금리도 올라갑니다. 대출금리가 올라가면 가계부채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갑니다. 가계부채가 올라가면 개인 기업 부도율이 급증하며 이는 정부의 엄청난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그런 악순환 고리를 차단하고자 시장의 예금 금리 증가를 최소화 할려는건 당연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0
0
0
완성차 회사들이 내놓는 옵션 구독 서비스가 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엄청난 영향을 줄거라 예상됩니다. 아직은 테슬라 외에 완성차 업체들의 구독 모델이 초기 수준이지만, 점점 증가할거라 예상됩니다. 테슬라의 경우, 테슬라 보험/FSD 월구독 등 옵션 구독으로 판매하고 있지만, 아직 구독율이 저조한 상태입니다. 향후에 자율주행이 레벨 4이상이 상용화 된다면 자동차 판매율은 엄청 떨어지게 될것입니다. 자동차를 살 이유가 없어지는 거죠. 그러면 완성차 업체들은 새로운 수익원 창출이 필요한데 그걸 구독시스템으로 보완한다는 계획입니다. 아직은 1%도 안되는 시장이지만 자율주행 레벨이 올라갈수록 엄청난 성장 산업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
대출
22.12.10
0
0
우리나라 IMF는 왜 일어난건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일단은 90년대는 급성장 시대였습니다. 일자리가 넘치고 기업들은 돈을 쓸어 담았죠. 지금은 상상도 못하는 백화점에 엘레베이터 안내원도 있던 시대였죠. 근데 왜 금융위기가 왔냐면.. 그만큼 기업들은 수익에 비해 엄청난 부채를 빌려서 투자를 했던거죠.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성장이 영원할줄 믿음겁니다. 하지만 몇몇 동남아시아 경제 상황이 무너지고, 이에 불안을 느낀 선진국들이 아시아에 투자금을 회수 하다 보니 기업들이 감당을 하지 못해 부도가 발생한겁니다. 이에 정부도 외환보유고 관리가 미흡하다 보니 외화 부족으로 IMF 구제 요청을 한거죠
경제 /
경제동향
22.12.09
0
0
23년도의 경제는 IMF시기만큼 힘들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IMF급의 위기도 없겠으나 호황도 없을겁니다. 경제 순환상 어려운 침체기에는 진입이나 뱅킹 시스템 붕괴 같은 건 없을겁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09
0
0
주식거래 시 체결강도라는 말이 나오던데 그 수치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시간 대비 매수 매도 강도입니다 100을 기준으로 높으면 매수가 세고 낮으면 매도가 강하다는 의미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9
0
0
LX세미콘의 2021년 실적이 전년에 비해 급증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코로나 때문에 전기전자 부품 수요 급증으로 수혜 받은게 맞습니다. LX세미콘은 디스플레이에 들어가는 DDI 구동칩을 공급하는데 주로 LCD OLED 에 들어갑니다. 노트북 티비 수요가 급증으로 가장 수혜 받은 기업 중 하나입니다. 최근 실적 급감 이유도 이 부분의 수요 둔화가 이유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09
0
0
네옴씨티에 한국에서는 어느정도 참여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사우디가 50% 한국 중국이 각각 17% 정도 참여하는것으로 나왔습니다. 하지만 그냥 계획 안이지 구체적인건 하나도 없습니다. 그래서 얼마전에 빈살만 왔을때도 MOU 양해각서만 체결하고 돌아갔죠. 그건 언제든지 해지가 가능한 수준이기 때문에 변동이 가능합니다
경제 /
경제정책
22.12.09
0
0
미국의 금리인상이 우리나라에게 어떤영향을 끼치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미국의 금리 인상은 한국 경제에 엄청난 영향을 줍니다. 일단은 금리 인상은 달러 강세, 원화 약세를 발생되어 수출 기업한테는 좋지만, 수입 물가의 급등으로 국내 소비자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 좋지만, 장기적인 달러 강세는 수출지표에 악영향을 줍니다. 현재 한국의 수출지표도 10개월 연속 적자유지 입니다. 여기서 앞에서 설명드렸던, 수출기업에 좋다고 했지만, 사실 단점이 더 큽니다. 한국은 자원이 자급자족 못하는 국가라서 전부 원자재를 수입합니다. 달러 강세면 원자재 수입 가격도 올라가니 매출원가 급등으로 기업 실적은 악화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09
0
0
매년 새로운 금 탄광이 생기는데 금 값이 안떨어지는 이유는 신뢰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금이 오랫동안 안전자산으로 여겨왔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이 등장하면서 금의 가치는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을 안전자산으로 전환 되어왔죠. 하지만, 아시다시피 코인의 신뢰도가 무너짐에 따라 더이상 안전자산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다시 금의 가치가 부각될거라 예상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9
0
0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