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한글은 외국인들이 접하기에, 어려운 문자에 속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한글은 외국인 들이 배우기에 비교적 어려운 편 이긴 합니다. 특히 존대말이 존재 하고 받침등이 있고 단어가 받침에 따라 달라 지기에 어려워 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또한 형용사가 많이 발달해 있어서 다양한 형용사도 이를 어렵게 만드는 이유중의 하나 입니다.
학문 /
문학
25.10.21
0
0
조지오웰은 진짜 천재가 아닐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조지 오웰같은 천재적인 작가가 되려면 우선 책이나 영화, 예술 작품을 통해 상상력을 키워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생각 됩니다. 작가의 풍부한 상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의 작품을 최대한 많이 보고 다양한 영화도 경험 하며, 미술이나 음악등 다양한 예술 작품을 경험 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학문 /
문학
25.10.21
5.0
1명 평가
0
0
한국어 문장어휘 어떤게 맞는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윗 문장들은 사실 전부 다 무엇인가가 빠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무엇을 부탁 한다는 것인지 그 대상이 빠져 있는 듯 합니다. 좁은 공간이니 보행을 조심 하라는 것인지 운전을 조심 하라는 것인지 어떤 행동을 조심 하라는 것인지가 명확 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좁은 공간이오니 ( 안전 운행) 부탁 드립니다. 정도로 써야 할 듯 합니다.
학문 /
문학
25.10.21
0
0
영상제작자의 꿈을 창의적인 말로 답변하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영상 제작자는 영상, 사진, 음악 등 다양한 컨텐츠를 만들어서 대중과 소통하는 직업 입니다. 그래서 영상 제작자를 조금 더 창의적인 말로 표현 한다면 퍼블릭 크리에이터( Public Creater), 대중 소통 전문가, 컨텐츠 크리에이터 등 다양한 말로 표현 가능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문학
25.10.19
0
0
'통화=문자 주고받음' 이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우선 통화는 전화상으로 말을 주고 받는 것을 의미 합니다. 즉 전화상으로 말을 주고 받는 것을 의미 하지 문자를 주고 받는 것은 통화가 아닌 문자 송수신 이라고 합니다. 영어에서도 문자는 TEXT 라고 하고 통화는 CALL 이라고 다른 단어를 사용 하고 있습니다.
학문 /
문학
25.10.18
0
0
인생에 통찰력이 있는 명언 알려주시겠어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마광수 교수의 명언 중에 기억에 남는 몇 가지 명언이 있다면 우선 인간은 우주 속의 한알의 먼지같은 존재이고 인간의 삶에 의미를 두면 안됩니다. 그러면 작은 행복감이나마 맛보게 된다고 하는 말 입니다. 또한 내일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입을까 걱정하지 말라는 말도 성경 속에서 예수님의 말씀을 예로 들면서 한 말도 기억에 남습니다. 결국 인간의 한계를 깨닫고 우리가 우주 속에서 얼마나 미약한 존재 임을 받아 들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 됩니다.
학문 /
문학
25.10.15
0
0
영어 단어 잘 외우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영어 단어를 잘 외우는 방법은 그 단어를 단순 하게 단어장에 써서 외우는 것이 아니라 그 단어가 들어간 문장을 같이 보면서 자연 스럽게 문장을 통해서 이해를 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냥 한번 보고 끝낼 것이 아니라 반복해서 단어를 봐야 하며 최소한 매번 단어를 외울 때에 처음 외운 단어를 계속 해서 일주일 동안은 봐야 할 것으로 생각 됩니다.
학문 /
문학
25.10.15
0
0
사랑하면 다 내줘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물론 사랑하면 상대방을 더 많이 생각 하고 모든 것을 주고 싶어 하는 아가페 적인 사랑이 먼저 떠오르는 것은 사실 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랑에 대한 개념도 시간이 갈수록 변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시간이 갈수록 사람들은 상대방 보다는 본인을 머저 생각 하는 이기적인 사랑을 더 원하는 것 같고 이러한 것은 저점 더 현대 사회의 경향이 되 가는 것 같습니다.
학문 /
문학
25.10.15
0
0
시를 쓸 때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시와 문학은 역사적인 배경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특히 한국 시의 경우 전통적이고 고정 적인 형태의 시에서 일제 강점기와 한국 전쟁등을 거치면서 개인적이고 자유 로운 형식으로 변화 하게 됩니다. 특히 1920년대 현대시와 자유시가 생겨 난 이후로 1940년대 일제 강점기의 암흑기를 거치면서 1950년대는 한국 전쟁을 경험 하면서 전쟁과 실존의 비극적 묘사가 주를 이루다가 1990년 이후에는 다양 하고 개인적인 경험을 중시 하는 간결 하고 직설 적인 표현이 주를 이루게 됩니다.
학문 /
문학
25.10.15
0
0
맞춤법은 틀릴때마다 지적해주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글을 누가 쓰는 가에 따라 다른 것 같습니다. 만일 글을 쓰는 사람이 아이들이라면 글을 쓰도록 약간의 실수는 그냥 두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왜냐하면 아이들은 자기가 아는 단어를 동원해 문장을 만들어내는 것 만으로도 힘들어 하기 때문 인데 예를 들어 접속사도 신경 써야 하고 동사의 현재형과 과거형을 구분 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우선은 글을 쓰게 만들고 나중에 중요한 것만 지적을 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반면에 글을 쓰는 사람이 성인 이라면 지적을 해 주는 것이 맞다고 보여 집니다.
학문 /
문학
25.10.13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