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미국과의 통화스와프가 어려운 상황에서 '원화 계좌 투자'가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미국과의 통화스와프가 이루어질 수 있을지 확신이 없는 상황에서는 무엇인가 투자를 하는데 위험이 상당히 있을 수 있습니다.미국내 막대한 투자가 있는 상황에서 통화스와프 부재 시 대규모 달러 조달 부담으로 원화 약세와 더불어 환율 변동성이 커질 위험이 있다고 보여집니다.이에 따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시점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0.19
0
0
해외직구를 했는데 세관검사가 지연이 되고있다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관부가세 납부 대상물품이 통관완료되기 위해서는 관부가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만약 면세적용이 된 물품이라면 당연히 세금 납부 없이 통관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검사는 랜덤으로 선별되기도 하지만 세관 내 자체 검사 선정에 대한 기준등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0.19
0
0
미국에서 11월부터 버스와 트럭에 대해 관세를 추진한다고 하는데 전품목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거겠죠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트럼프 대통령이 트럭 등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는 포고문에 서명한 것으로 보입니다.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224086.html현재의 자동차 관세와는 다른 별도의 조치로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의 관세부과대상인 승용차에 대한 관세가 더 중요한 부분이지만, 결국 영향이 아예 없다고 생각할 수는 없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부과의 근거의 안정성(?)이 있는 무역확장법 제232조 관세를 활용한 관세부과정책의 부과범위는 더 넓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0.19
0
0
우리나라 방산업체가 작년에 수출한 방산은 어느정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기사에 따르면 2024년 우리나라의 방산수출은 95억달러 규모로 목표액보다는 축소된 것으로 보입니다.https://www.segye.com/newsView/20250102511785다만, 현재 우리나라의 방산수출은 점점 더 늘어날 전망이며, 최근 방산에 대한 여러가지 관심도의 증가로 방산 수출에 대한 부분도 더 유리한 점이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713731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0.19
0
0
미국 대통령 트럼프의 한국에대한 관세정책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투자금액에 대한 여러가지 의견이 오고간 바 있지만 현재는 3500억달러로 합의가 된 것으로 보이며, 선불이 아닌 할부, 통화스와프 등을 요구하는 상황이지만, 여전히 여러 의견들이 오가면서 확실한 정보가 나온 것은 아닙니다.실제 협상의 완료시점이 얼마 남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그때가 되면 어느정도 정확한 정보가 나오게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https://www.hani.co.kr/arti/politics/diplomacy/1224024.html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0.19
0
0
보호무역주의가 단기적으로 자국 산업을 보호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어떤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말씀하신대로 보호무역주의는 단기적으로 일부 산업에 대한 보호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비효율이나 혁신저하, 소비자 선택 제한의 부작용을 초래하여 결국 경제적 성장, 경쟁력을 약화시킵니다. 자유무역과 보호무역에 관한 연구에서는 자유무역이 경제성장에 더 도움이된다는 것이 다수의견이며 보호무역의 환경에서는 공급망 재편, 운영 불확실성 확대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0.19
0
0
미국의 일방적 관세 정책이 동맹국들에게 주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미국의 일방적인 관세정책은 동맹국들 사이에 신뢰저하와 경제적 불확실성을 야기할 것이나 현재 대부분의 국가들은 미국의 관세정책에 대하여 관세를 낮추는 대신 미국내 투자나 수입액을 늘리는 등의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미국의 관세정책 자체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는 국가들이 현재는 많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마국의 관세정책은 안보 동맹의 응집력 약화와 무역·투자 통합 저해라는 이중적 부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0.19
0
0
우리나라가 관세협상을 벌이고 있는데 통화 스와프같은 경우 연준과 재무부는 어떻게 다르나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우리나라는 3,500억달러의 대미투자를 위한 장치로서 통화스와프를 요청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대한 결정권은 연준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가는 아니지만, 연준은 이러한 정책적 방향성에 대한 독립성을 가지고 있어, 행정부인 재무부에서 완벽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인디ㅏ.아래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TradeNewsDetail.do;JSESSIONID_KITA=E38F3B20E12A43B6DDE71859F1E86716.Hyper?no=95843&siteId=1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0.16
5.0
1명 평가
0
0
시제품만 수입을 할 경우에 품목분류 기준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시제품이라고 해서 hs code가 달라지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물품에 대한 hs code는 일반적으로 재질/기능 등에 따른 분류가 이루어지며 해당 물품의 물품정보 등을 제공하시면 통관을 진행하는 관세사 등 전문가를 통한 품목분류가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0.16
0
0
미국과 중국이 장기적으로 관세로 다투면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미국과 중국이 장기적으로 고세율의 관세정책을 부과하는 등 무역분쟁을 일으키게 되면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생산비용의 상승으로 세계 경제 성장 둔화와 물가 불안정이 심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또한 중국/미국은 이러한 부분 뿐 아니라 전략적인 물자에 대한 수출통제, 상대국 주요 수출품목에 대한 수입금지 등 여러가지 수단을 통해 서로를 견제하고 있어 피해규모는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이는 전세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중국과 미국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도 많은 피해를 받게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0.15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