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용돈을 사용하고 저축하는 경제 습관은 어떻게 훈육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상흠 초등학교 교사입니다.7세면 지금 시작하셔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ㅎㅎ 지나치게 경제 습관을 잡아준다기 보다는 마음을 가볍게 하시고 천천히 한다 생각하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용돈 주기, 용돈양 등은 아이와 이야기해서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같이 결정함으로써 의사결정을 같이하고 책임감도 기를 수 있습니다.용돈은 아이와 협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에게 일주일에 용돈이 얼마나 필요한지, 용돈을 받으면 보통 어디에 사용할건지, 왜 필요한지 등을 간단히 글로 적어 이야기합니다. 아직 7세면 글로적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글로적기 어렵다면 생각을 정리해서 이야기하라고 합니다. 이야기를 들어보시고 너무 많다 적다 판단하셔서 용돈을 협의하시면 되겠습니다. 간단히라도 아이가 스스로 고민해보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ㅎㅎ용돈을 주기로 했으면 사용권한을 최대한 아이에게 맡기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건 사도된다 안된다를 이야기하기보다 용돈 내에서는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지원해주시고 믿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나중에 용돈 인상해달라고 하면 마찬가지로 얼마가 필요한지 왜 필요한지 등을 글로적어 협의하시고 인상여부를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Q. 아이가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집에서 복습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상흠 초등학교 교사입니다.금요일에 하교할 때 국어, 수학, 영어, 사회 등 공부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과목의 교과서를 집에 가져오도록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이번주에 어떤 것을 공부했는지 같이 살펴보시고 국어의 경우 교과서에 나오는 이야기도 같이 읽어보시고, 수학의 경우 이번주 무엇을 배웠는지 어떤 것을 틀렸는지 살펴보시고 복습, 보충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ㅎㅎ
Q. 초등학교에서 학생이 전교회장이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장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상흠 초등학교 교사입니다.가장 큰 것은 자기만족입니다. 학교에는 학생, 학부모. 교사가 있지요. 학생 대표, 학부모 대표는 각 집단의 대표로 학교 전반에 의견을 내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투표라는 과정을 거쳐 한 집단의 대표가 된다는 것은 어마어마한 일입니다. 당선이 되지 않더라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신감, 자부심, 책임감, 리더십 등 다양한 능력을 기를 수 있지요.눈앞에 보이는 물질적인 이득보다는 학생들을 대표해 봉사하고 앞장서며 사회에서 살아가며 필요한 능력들을 기른다는 점이 장점인 것 같습니다.
Q. 아이와 함께 할 수 있는 실내 놀이 추천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상흠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즐겁고 쉽게 할 수 있는 취미는 당연 보드게임입니다. 연령불문으로 즐겁게 활동할 수 있습니다.요즘 날이 덥고 습하다보니 여름휴가를 밖에서 보내는 경우보다 실내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ㅎㅎ 아이와 어른이 공감대가 적더라도 즐겁게 할 수 있는 보드게임을 추천합니다. ㅎㅎ보드게임을 조금 설명드리면! 저학년부터 고학년, 어른까지 쉽고 재밌게 할 수 있는 보드게임은 도블, 할리갈리, 펭귄얼음깨기, 텀블링 몽키 등이 있습니다. 비교적 규칙이 단순하고 쉬운 게임이지만 재미도 충분합니다.위의 게임보다 조금 생각이 필요하지만 즐겁게 할 수 있는 보드게임은 사보타지, 다빈치 코드, 스플렌더, 루미큐브 등이 있습니다. 머리를 쓰는 보드게임이 하고싶다면 추천합니다. 저학년은 조금 어려워 할 수 있습니다!어떤 보드게임을 골라야할지 모르겠다면 보드게임카페에 방문하여 즐겨보시고 재밌었던 보드게임들을 사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아이와 좋은 시간 보내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