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강경원 전문가
부산진구남성합창단
Q.  구한말 임오군란이 일어나게 된 배경과 이유는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82년 6월 5일 무위영 소속 구훈련도감 군병들이 부당한 대우에 항의하여 일으킨 사건. 모래가 섞인 쌀을 지급하던 관리들을 구타한 사건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민씨 정권 아래 각종 수탈을 받았고 생계에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었던 빈민과 5군영의 폐지와 13개월이나 급료가 지불되지 않은 하급군병이 민씨정권에 대한 투쟁을 촉발하여 대규모 폭동으로 이어졌다. 사태를 수습할 능력을 잃은 고종대신 대원군이 나서서 곧바로 정상적인 급료 지급을 약속하는 등 사태 수습에 나서면서 폭동은 가라앉았으나 군병들은 소규모 부대를 이루어 활동을 계속했다. 대원군 정권이 들어서자 일본과 청국은 자신들의 이권을 지키기 위해 즉시 군대를 파견했다. 서울에 들어온 청군은 대원군을 청국으로 납치해가는 한편, 군대를 몰아 서울 시내와 궁궐을 장악했다. 이에 군병과 서울의 빈민들은 청군에 저항하여 무기를 들고 곳곳에서 소규모 전투를 전개했으나 청군에 의해 군병의 집단적 거주지인 왕십리와 이태원이 진압되고 말았다.
Q.  지석영의 우두법은 우리나라 자체 기술인가요 아니면 서양에서 건너온 기술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두법은 조선 후기 실학자들에 의해 소개되고 있었는데, 본격적인 도입은 개항 이후 지석영에 의해 이루어졌다. 중국에서 수입된 우두법 관련 서적을 읽으며 우두법에 관심을 가지게 된 그는 수신사를 통해 전해진 『종두귀감(種痘龜鑑)』을 읽은 후, 1879년에는 부산에 있던 일본인 병원 제생의원(濟生醫院)을 찾아가 종두법을 배웠다. 그후 두묘(痘苗)의 제조방법을 알기 위해 직접 일본에 건너가 일본 내무성 우두종계소장으로부터 채장법(採漿法), 독우사육법(犢牛飼育法)을 배우기도 했다.지석영의 계속된 노력으로 전국 각지에 우두국(牛痘局)이 설치되었고, 우두 접종이 광범위하게 시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편에서 사람들은 우두법이 일본을 통해 전해진 것임을 알고는 그들이 우리를 지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우두법을 퍼뜨리고 있다고 수군대기 시작했다.이런 반발심은 1882년 임오군란 때 폭발했다. 군란이 일어나자 사람들은 제일 먼저 우두소(牛痘所)에 불을 질렀고, 일시 집권한 대원군은 지석영이 외국으로부터 종두라는 마술을 수입하였다는 죄목을 내세워 체포령을 내렸다.
Q.  베링해협이 원래는 육지였다구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북극해와 베링 해를 이어주고 아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이 가장 근접한 곳에서 이 두 대륙을 갈라놓는 해협. 평균깊이가 30~50m이고 가장 좁은 곳은 너비가 85㎞ 정도 된다. 베링 해수의 일부가 이 해협을 통해 북극해로 흘러들어가기도 하지만 그 대부분은 태평양으로 되돌아간다.이 해협의 이름은 1728년에 이 해협에 배를 타고 들어온 덴마크인 선장 비투스 베링의 이름을 따서 붙인 것이다. 해면의 높이가 100m 이하로 낮아졌던 빙하기(약 2만~3만 5,000년 전) 동안에 이 해협은 아시아와 북아메리카를 잇는 육교 역할을 했는데, 이 육교를 통해 상당한 수의 식물과 동물뿐 아니라 사람들도 이주했다.
Q.  미국은 ‘로비스트’가 왜 발달하게 된 것인지 역사적 관점이 달라서 그럴 것 같은데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특정 압력 단체의 이익을 위해 입법에 영향을 끼칠 목적으로 의회 내의 로비 및 기타 장소에서 정당이나 의원을 상대로 활동을 벌이는 교섭자 또는 운동원을 가리킨다.많은 사람들이 로비를 일종의 뇌물수수행위와 연관짓고, 심지어는 로비라는 단어를 뇌물이라는 뜻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래는 부정적인 뜻의 단어가 아니며, 이익단체와 입법부를 연결해주는 중간 매개 행위를 일컫는다. 예를 들면 장애인보호에 관한 법률을 만들기 위해 장애인 권익 단체에서 자신의 뜻을 국회의원 쪽에 전달하고 싶을 경우, 이익단체에서 직접 대표인을 보내서 설명할 수도 있긴 하지만 전문가에게 맡기는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때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가가 바로 로비스트이며, 의원들을 만나 어떤 부분에서 장애인들에게 배려와 보호가 필요한지 설명하는 것이 로비 활동이다.그러나 순수한 선의만으로 돌아가지 않는 정치판에서 로비 활동이 순수하게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문제다. 정식으로 의원 사무실에 연락하여 접견 예약을 할 수도 있으나, 이미 의원과 안면을 트고 친분이 있는 상대가 찾아가 밥이라도 같이 먹자면서 이야기를 나눈다면 일이 훨씬 수월할 것이다. 게다가 의원들에게 정치 자금 지원과 지속적인 지지를 약속한다면 정치인 입장에서 아주 군침도는 제안일 수 밖에 없다. 이렇게 설명하면 마치 속이 시커먼 사람들 사이의 비밀 회합처럼 보이겠지만, 그래도 여기까지는 합법적인 수준이다. 막장으로 치닫는 경우는, 단체에서 비정상적인 이익을 위해 불법적인 자금을 제공하는 경우다. 심지어는 정치인 쪽에서 이걸 요구하기까지 한다.미국은 이러한 로비스트의 일이 합법적으로 보호받고 인정하는 수준이라 정착이 되었다.그러나 로비스트의 장점보다 단점이 더 많아서 오늘날 미국은 총기나 마약류 범죄가 끊이질 않는듯 하다. 그 이면에는 로비스트들의 엄청난 입법활동이 숨어있는것이다
Q.  독일의 관세동맹은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일의 관세동맹과 1848년 혁명빈 회의 이후의 독일에는 사회적 변화에 따른 각종 소요가 일어났으나 역사상 드물게 보이는 평화시대가 찾아왔다.전통적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들어서는 계기는 농민해방과 영업자유령으로 마련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본격적인 산업화가 전개되지 않은 상황 속에서 사회경제적 재편성이 진행되고 있었다. 농민해방 이후 독일 농업은 재편성 단계에 들어섰다. 농노제가 폐지된 엘베 강 동쪽지방에서는 귀족들의 대농장 경영이 확대되어 융커의 농업 자본주의 경영은 토지를 소유하지 않은 대규모의 농업노동자층을 형성했다.이들 대토지 경영에 종사한 융커 계급은 지방경제만이 아니라 행정에도 크게 영향을 주었다. 1834년 독일연방에 소속된 대부분의 국가를 포함하는 관세동맹(Zollverein)이 결성되었다. 이에 가입하지 않은 지역은 오스트리아와 북서 연안지역뿐이었다. 약 40만㎢의 면적과 2,500만 명의 인구를 포괄하는 관세동맹의 의미는 정치적 통일에 앞서 독일의 경제적 통일을 성취했다는 데 있다.이로써 관세동맹의 주역인 프로이센은 중유럽에서 우위를 다투는 오스트리아와의 경쟁에서 절대적 위치를 차지했다.관세동맹으로 독일이 하나의 경제단위로 통합된 것은 경제발전의 중요한 기반을 확보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통일국가 형성이라는 과제의 해결은 요원했다. 같은 국민으로서의 일체감 형성에 필요한 다양한 집단간의 유대는 형성되지 않았고 일상생활은 개별국가의 테두리 속에 폐쇄당하고 있었다.그러나 1848∼49년의 혁명은 사회적 해방운동과 더불어 국민적 일체감을 창출하는 계기가 되었다.1840년대 후반 유럽 대륙을 휩쓴 경제적 불황은 대중적 불만을 혁명으로 확산시켰다. 때마침 프랑스 2월 혁명의 소식이 전해지자 독일 전역에서도 소요가 일어나고 혁명적 기운이 퍼졌다. 반동의 총수 메테르니히는 자리에서 물러나 망명했으며 베를린에서는 국왕의 헌법제정 약속에도 불구하고 시가전이 벌어졌다.
1911921931941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