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미 방위비 분담금 기존 협정대로 유지하겠다고 발표했는데
한미 방위비 분담금처럼 외교나 안보 이슈는 대부분 사람들에게는 직접적인 체감이 어려운 주제는 아닐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세금정책, 복지 예산, 물가 등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적인 변화가 생기면 체감하게 될 것입니다. 금융시장, 투자 심리, 세금, 경제정책 등을 통해 우회적으로 실생활과 연결되는 뉴스가 계속 발표 되는 경우가 점점 많아 지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Q. 미국 달러가 기축통화인 이유는 뭔가요?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주요 연합국들은 전후 국제 금융 질서를 안정시키기 위해 미국 뉴햄프셔주 브레튼우즈에서 회의를 열었고, 이때 미국 달러를 중심으로 한 금본위제 기반의 국제 통화 체계가 합의되었습니다. 이 체제 하에서 각국 통화를 미국 달러에 고정시키고, 미국은 달러를 금(1온스 = 35달러)으로 고정시켜 금과 달러를 교환해주는 의무를 지면서 세계 기축 통화의 역할을 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1971년 미국이 금태환을 중단하면서 브레튼우즈 체제는 무너졌지만, 이미 달러화는 세계 금융과 무역의 중심축이 된 상태로 미국의 경제력을 배경으로 하여 국제 무역의 결제통화, 외환보유고의 표준, 원유 및 원자재 거래의 기준통화로 달러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면서 다른 나라들이 달러를 계속 보유하고 사용하게 되는 기축통화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