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파트 구매시 여러조건중 선택순위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보통 학군과 교통을 최우선으로 봅니다.그리고 뷰, 일조량, 브랜드, 쇼핑문화생활로 순위를 나누고요.개인마다 다르긴 합니다.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Q. 부동산 매매시 공인중개사 수수료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매매.교환 5천만원 미만 : 0.6% / 한도 : 25만원 5천만원 이상 ~ 2억원 미만 : 0.5% / 한도 : 80만원 2억원 이상 ~ 9억원 미만 : 0.4% 9억원 이상 ~ 12억원 미만 : 0.5%12억원 이상 ~ 15억원 미만 : 0.6%15억원 이상 : 0.7%임대차등5천만원 미만 : 0.5% / 한도 : 20만원 5천만원 이상 ~ 1억원 미만 : 0.4% / 한도 : 30만원1억원 이상 ~ 6억원 미만 : 0.3%6억원 이상 ~ 12억원 미만 : 0.4%12억원 이상 ~ 15억원 미만 : 0.5%15억원 이상 : 0.6%주택 외 상가, 업무용 오피스텔의 경우0.9% 이내 협의입니다.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추천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Q. 임대차 계약에서 묵시적 갱신은 어떤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계약기간 만료 6 ~ 2개월 전까지 양측 계약 해지에 대한 합의가 없는 경우, 전 임대차와 동일한 계약이 체결된 걸로 봅니다.다만 임차인은 언제든 퇴거 통지가 가능하며, 임대인은 통지받은 날로 3개월이 경과되면 계약은 해지됩니다.예를 들어 21년 1월 1일 2년 전세 계약을 한 경우.22년 10월 1일까지 임대인, 임차인 모두 가만있으면 묵시적 갱신입니다.원래 계약 만료일인 23년 1월 1일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퇴거를 요청하면임차인은 묵시적 갱신을 이유로 퇴거 요청을 거부할 수 있으며, 25년 1월 1일까지 거주 가능합니다.반면 23년 5월 1일 임차인이 짐 뺄 테니 보증금을 반환해달라 임대인에게 요청하면23년 8월 1일까지는 보증금을 반환해 주어야 하고요.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추천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Q. 세입자 만기전에 아무런 퇴거의사 없을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계약기간 만료일 기준 6 ~2개월 이내 양측 계약 해지에 대한 답이 없으면 전 임대차와 동일한 계약이 체결된 묵시적 갱신으로 봅니다.다만 이 경우 임차인은 언제든 퇴거 요청을 할 수 있으며, 임대인은 요청받은 날로 3개월 이내 보증금을 반환하셔야 합니다.현 상황이면 이미 묵시적 갱신이 된 걸로 보이며임차인이 퇴거를 요청하면, 퇴거 요청받은 날로 +3개월 안에만 다음 세입자 받아 보증금 반환해 주시면 됩니다.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추천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Q. 집을 거래하고 나서 발생하는 누수는 누구 책임인가요?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매매계약서 특약상 별 내용이 없으면, 하자담보책임을 물어 집주인에게 수리비를 청구 할 수 있습니다.하자를 안 날부터 6개월 이내 청구 가능하니 참고 바랍니다.누수 외 보일러, 콘크리트 등 주택의 큰 하자에 대한 부분은 하자담보책임의 대상물에 들어가며수도꼭지, 문걸이, 전등 등 소모품의 경우는 해당사항 없습니다.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