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부동산 전세계약시 주의해야할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결과적으로 매매가와 전세가가 동일한 다가구, 신축빌라, 오피스텔은 가급적 피하시고계약 전 등기부등본을 살피셔서 선순위 융자가 있는지 확인 후 근저당이 없는 주택만 계약하시는게 좋습니다.또한 주택을 여러채 보유하고 있는 임대인의 경우역전세로 주택 가격이 떨어지면 보증금을 반환 할 상황이 불가능한 경우가 훨씬 많으니 참고 바랍니다.또한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하면, 추후 전세금을 반환받기까지 과정이 힘들 수 있으나전세보증금 원금을 보장을 받으니 반드시 가입하셔야 합니다.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고도 막상 사고가 터지면 반려되는 경우가 있는데,이 경우는 집주인이 세금체납서류, 선순위 임차인의 보증금액 서류 등 사문서를 위조하여 제출한 경우 입니다.보통 통건물 원룸 등 다가구에서 많이 발생하는 사항이니 다가구는 계약 대상물에서 배제하시길 바랍니다.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Q. 2년 전세 계약 만료 전 1년 재계약 연장을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계약만료 6개월 ~ 2개월 이내 당사자간 계약해지에 대한 합의가 없으면 묵시적갱신 된 걸로 보아 전 임대차와 동일한 기간의 임대차계약이 체결 된 걸로 봅니다.다만 임차인은 언제든 퇴거통보가 가능하며, 임대인은 퇴거통보를 받은 날로 3개월이 지나면 계약해지와 동시에 보증금을 반환해야 합니다.현 상황에 1년만 더 연장 하겠다고 합의보셔도 되지만퇴거 3개월 전에만 말씀하시면 동일한 효력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