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전문가입니다.
권만순 전문가
비밀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좌측무릎 뒤쪽에 통증이 있어요. (앉았다 일어날때, 신발 벗을때 등등...)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좌측 무릎 뒤쪽 통증은 주로 인대, 힘줄, 또는 관절의 문제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진단을 위해 MRI 촬영을 고려하여 연부조직 손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증 완화를 위한 얼음 찜질과 항염증제 복용도 고려해보세요. 또한 활동시 보호대 착용을 하시면 어느정도 통증 감소 효과가 있으니 보호대라도 일시적으로 착용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건초염 증상이 지속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건초염 증상을 완화하려면 통증이 심한 부위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얼음 찜질이나 물리치료가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어깨와 손가락을 스트레칭과 강화 운동을 통해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도 좋습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반복적인 동작을 피하며, 적절한 휴식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허리디스크 질운드립니다. X-RAY 검사로 디스크 확인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엑스레이 촬영으로 어느정도 유추 할 수는 있습니다. 정확한 것은 mri 가 좋겠지만 엑스레이촬영은 뼈와 뼈사이의 간격정도만 볼 수 있으며 간격이 좁다는것은 디스크 많이 찌그러져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운전을 많이 하면 오른쪽 무릎통증이 오나요?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장시간 운전은 무릎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고, 같은 자세를 유지하게 하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오른쪽 무릎은 가속과 브레이크 조작으로 인해 더 많은 부담을 받게 됩니다. 장시간 운전했을 때만 계단을 오르내릴 때 통증이 심해진다면 운전 자세나, 시트를 바꿀 필요가 있어 보이며, 무릎의 휴식과 스트레칭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목 어깨 통증에 좋은 마사지 기구같은게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마사지 기구들은 비슷한 기능과 구조로 인해 몸에 밀착이 잘되는 형태로 만들다보니 비슷하게 만들 수 밖에 없습니다.주로 몸에 밀착시켜 근육을 주물러 주거나 진동으로 긴장을 완화하는 원리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계단을 올라가는 것보다 내려갈 떄 무릎에 더 안좋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계단을 내려갈때는 무릎 앞쪽 압력이 계단을 올라 갈때보다 심해지고 하중을 많이 받기 때문에 무리가 더 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내려가는 행위를 계속 하지 않으면 내려 갈때 쓰이는 근육들이 점점 약해 질 것이므로 계단을 내려가는 동작들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몸의 통증 근육이 아픈 이유는 뭔가여!???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근육 통증은 과도한 운동이나 신체 활동 후 근육 피로나 미세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운동 후 근육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염증이 생기면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잘못된 자세, 피로가 쌓이면 근막 통증이나 근육 긴장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손등에 핏줄이 울퉁불퉁하게 튀어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손등에 핏줄이 울퉁불퉁하게 튀어나오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혈관의 표면화와 피부 탄력 감소 때문일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피부가 얇아지고 탄력이 줄어들면, 손등의 정맥이 더 도드라져 보이게 됩니다. 또한, 체온 상승이나 운동으로 혈관이 확장될 때, 정맥이 더 부각될 수 있습니다. 특별한 통증이나 붓기가 없다면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발목 골절 수술후 뼈가 붙지 않고 틈이 엑스레이 사진상 보입니다. 이경우 재수술을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발목 골절 후 엑스레이에서 골절 부위가 붙지 않고 틈이 보인다면 지연 유합 또는 불유합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뼈가 자연스럽게 치유되지 않으면 추가적인 치료나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재수술은 뼈를 다시 고정하거나 뼈 이식을 통해 유합을 촉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정확한 판단은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연골이 약하고 많이 닳았다고 하는데 명칭이 뭘까여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연골이 닳고 약해지는 상태를 연골연화증 또는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 초기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관절염이 아닌데도 연골이 닳아 틈이 보이지 않는다면, 퇴행성 변화로 인해 연골이 마모되면서 관절 간격이 좁아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