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국내에서 최대 커피 수입 국가는 어디인가요?
관세청의 수출입무역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2022년도 커피 수입량은 생두와 원두를 포함하여 전체 커피 수입량 20만톤이고, 커피 수입금액도 코로나 이전 2019년도 6.6억 달러에서 2022년도 13억 달러로 2배 가량 증가했고, 수입물량은 17만톤에서 20만톤으로 1.2배 증가했다고 하며, 2022년도 로스팅하지 않은 상태의 생두가 수입물량 18만톤으로 거의 9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고 하며, 우리나라의 커피 최대수입국은 브라질 > 베트남 > 콜롬비아 순이고, 주로 해외커피 브랜드를 통하여 수입되는 원두는 미국 > 스위스 > 이탈리아 순이라고 합니다.
Q. 국제 무역 배송료가 너무 비싸요 아까워요
1. 일반 수입물품을 대량으로 수입할 경우 수출국가에서 수출국내 내륙운송비용이 들고, 관세국경선을 넘어 수입국가에 도착하기 까지 선박이나 항공기, 철도, 트럭 등의 운송비용이 발생하고, 다시 목적지 수입항 도착지에서 세관 수입통관절차를 거쳐 다시 수입자의 창고나 납품 거래처까지 국내 내륙운송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는 등 정말 사업하려면 비용절감을 위한 물류비와의 전쟁이라 할 수 있습니다.2. 국제운송수단 중 고가의 운임이 부과되는 항공기에 비하여 저가의 운임으로 대량 화물 해상운송이 가능한 선박편을 이용한 해상운송하시길 권해 드리며, 긴급한 물품일 경우에만 어쩔수 없이 항공기 운송을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Q.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는 전세계 달러 공급을 위한 것인가요?
1.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 2. 우선 전세계적으로 미국 달러화가 기축통화로서 국제결제통화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축통화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전세계로 달러를 공급해야 하는데, 미국이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게 되면 미국이 수출로 벌어들인 달러보다 수입으로 해외로 유출하여 지급한 달러가 많게 되면 그만큼 국제적으로 미국 달러화가 유통되는 구조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수출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한 국가는 미국 달러화가 많아져서 미래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미국 국채를 매입하게 된다는 의미로 맞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위 내용중 "미국은 일을 하지 않고"라는 말은 잘못된 표현이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