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의 3대무역국가는 어디인가요?
1. 관세청의 수출입무역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2022년도 수리일 기준 국가별 수출입실적은 총수출금액 미화 6,835억 8,476만 달러, 총수입금액 미화 7,313억 6965만 달러로 차액 미화 477억 8,489만 달러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습니다.2. 수출금액 기준 상위 3개 국가는 1위 중국 미화 1,,557억 8,938만 달러, 2위 미국 1,097억 6,570만 달러, 3위 베트남 미화 609억 6,368만 달러 순이고,3. 수입금액 기준 상위 3개 국가는 1위 중국 미화 1,545억 7,631만 달러, 2위 미국 817억 8,472만 달러, 3위 일본 미화 547억 1,179만 달러 순입니다.
Q. 수입실적은 어떤 요인에 의해 결정될까요?
1. 국제수지는 경상수지와 자본수지를 합한 개념이고, 다시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를 합한 개념입니다. 여기서 상품수지는 상품의 수출입실적에 대한 차액을 말하는데, 이를 통상 무역수지로 부르기도 합니다.2. 무역수지(상품수지)는 우리나라가 일정기간 동안 수출과 수입을 통해 외국에 상품을 팔아서 번 돈과 외국의 상품을 수입하여 사용한 돈의 차이를 말하고, 무역수지 흑자는 수출금액과 수입금액의 차이가 양(+)이면 무역수지 흑자이고, 음(-)이면 무역수지 적자를 나타내는 것입니다.3.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되면 그 만큼 수입증가로 인한 미국 달러화가 해외로 유출되어 외환보유고가 감소하고 국가신용도 하락하고,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여 다시 수입물품가격이 상승하여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경기침체로 이어져 경제성장도 둔화하게 되기 때문에 국가는 무역수지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수출확대 정책 등을 시행하게 됩니다.
Q. 국가는 수출규제를 어떤 이유로 시행하나요?
1. 수출규제는 수출입 양국간의 합의하에 수출국이 수출수량, 가격, 품질 등을 규제하는 수출방식으로 국내산업의 보호를 강화하고 있는 나라의 수입억제정책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2. 우리나라와 일본의 반도체 핵심소재 3개 품목에 대한 수출규제사건의 경우 일본이 2018년 우리나라 대법원의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 피해자 배상 판결에 반발하며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2019년 7월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수출 규제 강화하였으나, 2023년 4월 한일 정상회담에서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를 해소하기로 합의하고, 후속조치로 우리나라를 다시 화이트리스트에 복귀시키면서 다시 강제 동원 판결 보복 조치로 시행된 일본 정부 수출 규제는 모두 해제되었습니다.3. 최근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2023. 5. 3. 미국 의회가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를 비롯한 새로운 대중국 패키지 법안인 ‘중국 경쟁 법안 2.0’을 내놓겠다고 밝히며, 이 법안에는 중국에 대한 첨단 기술 수출 규제와 함께 대중 투자 제한, 중국의 경제영토 확장 사업인 ‘일대일로’에 대응한 미국 주도 신흥국 원조 프로그램 등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 이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반도체 수출에 많은 타격이 우려됩니다.
Q. 우리나라 무역 최대 교역국이 미국이 밎나요?
1. 관세청의 수출입무역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2022년도 수리일 기준 국가별 수출입실적은 수출금액 상위 1위 중국, 2위 미국이고, 수입금액 상위 1위 중국, 2위 미국 입니다.2. 올해 2023년 4월까지도 이처럼 1위 중국, 2위 미국으로 순위 변동이 없으나, 계속되는 대중국 반도체 수출감소로 조만간 중국과 미국의 순위가 변동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Q. 해외에서 생산한 화장품을 수입할때 관세율은 얼마인가요?
화장품은 품목분류 HS 3303호에는 향수와 화장수가 분류되고, HS 3304호에는 미용이나 메이크업용 제품이 분류되고 있으며, HS 3305호에는 두발용 제품류가 분류되고 있으며, 향수의 경우 HSK 3303-00-1000호에 분류되고, 관세율은 기본세율 8%, WTO협정세율 6.5%, 아시아-태평양협정세율 4.6%하-한-중국FTA협정세율0.6%, 한-EU FTA협정세율 0% 등이 부과되고 있는데, 관세율 적용순위에 따라 가장 낮은 세율이 우선 적용되고 있으며, 화장품에는 사치세인 개별소비세가 부과히지 않고 있습니다.
Q. 중국 수입하는 알루미늄은 관세가 얼마나 되나요?
중국산 알루미늄의 괴를 기준으로 품목분류 HSK 7601-20-9000호의 합금한 알루미늄의 괴는 기본세율 1%, WTO 협정세율 5%, 아시아-태평양협정세율 0.5%, 한-중국 FTA협정세율 0.1%, RCEP협정세율-중국 0.9% 등이 있는데, 원산지증명서를 구비하여 가장 낮은 세율인 한-중국 FTA협정세율 0.1%를 적용받으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알루미늄도 제품 가공정도에 따른 세번별로 관세율이 상이함을 알려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