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금리인상 정책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상 정책을 펼치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큽니다. 단순히 주식과 부동산 시장 하락을 넘어 경제 전반에 파급 효과를 칩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미국 달러 자산의 수익률이 높아집니다. 한국에 투자되어 있던 외국인 투자자들은 더 높은 수익률을 찾아 한국 주식이나 채권을 팔고 미국으로 자금을 옮기려 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게 되므로, 달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원화 가치는 떨어지게 됩니다. 즉,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게 됩니다. 환율이 오르면 수입 물가가 상승하여 국내 물가에도 부담을 줍니다.
Q. 석유화학 산업이 매우 좋지 않다고 하는데요 왜 그런건가요 석유가격도 괜찮은데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과거 한국 석유화학 기업의 최대 수출 시장이었던 중국이 자국 내 석유화학 제품 생산 능력을 대폭 늘렸습니다. '화학 굴기' 정책을 통해 대규모 설비를 증설하면서 자급률이 90%를 넘어섰고, 이제는 오히려 자국에서 생산한 저가 제품을 해외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의 대중국 석유화학 제품 수출이 크게 줄어들었고, 다른 아시아 시장에서도 중국산 저가 제품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이는 한국 기업들의 가동률 하락과 수익성 악화로 직결됩니다.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고금리 상황으로 인해 전반적인 소비 심리가 위축되었습니다. 이는 자동차, 건설, 전자제품 등 석유화학 제품이 최종적으로 사용되는 산업들의 수요 감소로 이어져, 석유화학 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 부진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Q. 한국 물가가 일본보다 비싼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은 식품, 주류, 통신 등 여러 산업에서 소수 대기업이 시장을 과점하거나 독점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경쟁이 제한적이다 보니, 기업들이 가격을 올리더라도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많지 않아 가격 인하 압력이 적습니다. 농수산물의 경우 복잡한 유통 단계를 거치면서 중간 마진이 많이 붙어 최종 소비자 가격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생산자에서 소비자까지 오는 과정이 일본보다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한국에서는 한 번 오른 가격이 잘 내려가지 않는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원가 상승 요인이 사라져도 가격을 인하하지 않고, 오히려 이를 기회 삼아 이윤을 확대하는 기업들이 있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의 저항이 약하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Q. 전세계 30-50클럽국가 7개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30-50클럽은 1인당 국민총솓그이 3만 달러 이상이면서, 총인구가 5천만 명 이상인 국가를 일컫는 비공식적인 용업입니다. 현재까지 30-50클럽이 속하는 7개 국가는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대한민국 입니다. 대한민국은 2018년 1인당 GNI 3만 달러를 돌파하며 7번째로 이 클럽에 가입했습니다. 이는 경제 성장과 인구 규모를 동시에 갖춘 선진국으로서의 위상을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