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스마트폰 사용 시간 증가는 정말 수면 부족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일까요?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중요한 일은 대면 상담을 추천드립니다)개인적인 생각으로 , 내용 전개가 빠르고, 흥미 위주의 컨텐츠나 영상을, 야간에 시청하시는 경우 아무래도 , 각성 중추를 자극하여, 수면 유도에 방해가 될 가능성이 높아보이긴 합니다 추가적으로 운동량 감소 및 야외활동 감소로 인한 태양빛 노출 감소(멜라토닌 분비 감소)도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듯 하고요
Q. 심리상담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담을 시작하기 전 준비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중요한 일은 대면 상담이 필수라고 생각됩니다) 글세요... 심리 상담의 경우에는 , case by case 라서 작성하신 내용으로는 구체적 답변은 애매해서... 일반적인 답변만 작성해 보겠습니다. 우선 정신병적 증상이나 자/타해 우려가 높거나, 일상 생활에 지장이 심한 경우는 제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소위 신경증적인 증상 (우울, 불안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본인이 불편감을 느끼고, 변화?하고 싶은 의지가 있고, 다소의 심리적인 어려움에 직면해도 일정부분 수용할 수 있는 경우가 좋습니다. 상담 기법 등 보다는, 내가 편하게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할 수 있고, 그에 대한 상담사의 태도(대응)이 나하고 맞는 것이 중요할 듯 하네요. 상담사는 정답을 주려고 하기 보다는 스스로 생각해 보고, 이야기 하지 못했던 내용을 떠 올릴 수 있는 계기를 위해 노력하는 경우가 많은 편입니다 (물론 상담 목적에 따라 직접적으로 이야기 하기도 하지만요) 개인적으로 상담은 비밀을 지켜줄, 나를 비난하기 보다는 (가능한) 내 입장에서 들어주고, 필요할 때 객관적인 조언을 해 줄 수 있는 동료로 생각하시는 것이 맞을 듯 하네요. 효과는 정말 case by case 라서... 말씀드리긴 애매합니다어떤 일이신지 알 수 없으나, 좋은 결과 있으시길 기원드립니다
Q. 불면증을 개선하기 위한 심리상담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중요한 일은 대면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가장 우선적인 것은 우울/불안/과도한 스트레스/갑상선 기능항진 등, 불면을 유도할 수 있는 정신과적/신체적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수면 문제의 경우, 수면 위생 교육 및 수면 관련 인지행동 치료가 더 도움이 될 듯 하네요-> 검색해 보시면 , 수면 일기 작성등 다양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을 듯 합니다 또한 초기에는 단기간 수면제 사용을 통해 , 수면 리듬을 교정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경우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