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경기가 긴축으로 돌아서면 어떤 것이 투자하기에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등 주요국들의 금리 인상, 긴축 정책을 본격 실행할 경우 유동성 기반의 부동산, 자산, 가상화폐 투자는 위험이 큽니다. 반면, 금이나 채권 등 가치저장 수단 성격의 안전 자산은 수요가 클 수 있습니다. 또는 인플레이션 우려가 점증하고 있어 원자재 펀드 등에 투자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이상 간략하게 제언 드립니다.
Q. 적금과 주식 어디에 투자비중을 높여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적금 이자율의 경우 세호 1% 내외로 알고 있습니다. 연간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적금은 적극적인 투자라고 보기 힘듭니다. 다만, 올해 주식 시장이 작년 역사적 고점을 찍고 올해 여러 가지 이유(금리인상, 긴축, 우크라이나 사태 등)로 하락 추세이고 여러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큰 변동성을 일으키며 하락 추세를 면키 어려울 듯합니다. 어떤 주식에 투자 하느냐의 문제이나 전반적으로 주식 비중을 줄이고 시장을 관망하실 것으로 권해 드립니다. 적금은 적극적인 투자는 아니나 주식 투자로 인한 기대 손실을 고려하면 소극적인 투자는 될 것으로 보입니다. 역사적으로 자산 시장 변동성에서 개인 투자가가 투자금을 보전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올해는 안정적으로 자산 운영을 하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Q. 미국 금리인상 시 세계 경기가 하락세 국면으로 접어들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 2~3년간 글로벌 자산 시장은 풍부한 유동성을 기반으로 급등했습니다. 이는 미국 등 주요국들이 시장에 유례 없는 유동성을 공급한 이유입니다.시중에 인위적로 풀린 유동성은 반드시 다시 회수를 해야 인플레이션 등을 막을 수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는 자산 가격 중심로 작년에 꼭지에 이르러 어느 정도 경기 하락을 감내해야 합니다.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미국과 러시와의 대결 구도 또한 불확실성을 싫어하는 주식 시장 등 자산 시장에 부정적입니다.역사적으로 볼 때 급등한 자산 시장은 늘 가격 조정의 구실을 찾습니다. 미연준의 금리인상, 긴축정책, 우크라이나 사태, 공급망 경색 지속, 중국 헝다사태,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 모두 주식, 가상화폐, 이머징 마켓 시장 등 고위험군 시장에 악재입니다.아마도 주요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는 위험 시장 투자는 유의핼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