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무릎 관절통증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아림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 관절염은 평소에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생활습관을 가지시면서 허벅지 위주의 적절한 근력강화운동도 해주셔야 합니다.또한 초기때부터 병원 치료를 병행하시면서 진행과 악화됨을 늦추고 통증관리를 해주시는 것을 목표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날씨가 춥거나 궂은 날엔 대기압의 변화로 관절 내의 압력도 변하고 혈관이 수축되고 근육도 경직되어 뻣뻣하거나 통증을 더 느끼실 수 있습니다.생활습관, 적절한 운동과 휴식, 체중관리, 물리치료 및 필요시 연골주사와 같은 주사치료를 상태에 맞게 전문의의 진단하에 관리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팔꿈치 통증이 지속이 될때는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아림 물리치료사입니다.팔꿈치는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염증이나 신경의 압박 등 여러가지 이유로 통증이 잘 발생합니다.일단 기본적으로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서 확인을 하는데 더 자세한 검사가 필요하지 않다면 물리치료나 주사치료, 충격파 치료, 약물치료, 도수치료 등 상태에 맞는 처방을 받아 당분간 꾸준히 받아보시길 바랍니다.여러번 받아봤는데도 나아지는 게 전혀 없다면 다른 병원을 가보시거나 정밀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뇌경색환자들은 어떤 재활운동을 많이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아림 물리치료사입니다.뇌경색 환자의 상태와 회복 목표 등에 따라 다르긴 합니다. 근육의 마비로 관절가동의 불편함이나 보행능력이 떨어졌을 때 관절가동범위를 회복하거나 근 재교육, 근력강화, 균형, 협응력 등의 재활을 하고 이러한 것들을 통해 보행이 가능한 수준이라면 걷기 운동을 합니다.언어와 삼키기 장애가 생겼다면 발음, 이해력, 표현력 등을 위한 언어치료를 하게 되고 연하치료를 통해 언어 및 삼킴 문제를 회복하도록 돕습니다.인지 기능에 문제가 생겼을 때, 손의 소근육 움직임에 문제가 있을 때도 작업치료를 통해서 여러가지 재활을 하게 됩니다.또한 옷입기, 글쓰기, 식사하기 등 여러가지 일상생활을 자립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작업치료팀에서 할 수 있습니다.이처럼 뇌졸중에 대한 재활은 여러 팀에서 협력하여 이루어집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피로가 지속적으로 누적되면 몸에 어떤 현상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박아림 물리치료사입니다.피로가 누적되면 생체리듬이 깨지고 기억력과 집중력 저하, 우울감이 올 수도 있으며 두통, 근육통, 호르몬 불균형 등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하지만 잠을 많이 잔다고 해서 해소되는 것은 아닙니다. 지나치게 잠을 많이 자면 몸의 대사활동을 늦추고 면역계의 기능 약화 등 이것 또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악순환이 반복됩니다.8시간 정도의 적정 수면 시간과 규칙적인 패턴이 중요하며 적당한 신체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이 필요하겠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