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형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전문가입니다.
김형준 전문가
청라 노동법률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2일 전 작성 됨
Q.
금품청산일을 당사자합의로 달리 정했는데 이시기를 지나면 근로기준법 위반이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퇴직금 지급기일 연장에 대한 합의가 유효하려면 퇴사후 14일 내의 기간에 별도의 합의를 해야 효력이 있습니다.따라서 5월 31일 재직 후 퇴사 시 6월 14일까지 퇴직금을 지급해야 합니다.제9조(퇴직금의 지급 등) ① 사용자는 근로자가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지급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
22일 전 작성 됨
Q.
사장님이 사망해서 직원들이 단체로 옮길시에 퇴직금은 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회계법인이 다른 회계법인으로 영업양도되는 것이라면 고용관계가 승계되므로 별도의 특약이 없다면 양도 전 기간에 대한 퇴직금도 양수 회계법인이 지급할 의무가 있습니다.하지만 정확한 사실관계를 모르나, 회계법인 회계사가 사망하여 다른 법인이 선의로 채용해주는 것이라면 고용승계에 대한 특약이 없다면 새로운 근로관계를 체결하는 것이므로 퇴직금은 기존 법인에 청구해야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22일 전 작성 됨
Q.
건설사 식대 통상임금에 포함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경우에는 통상임금에 포함되나, 말씀하신 것처러 실제 영업일에 따라 식대가 달라진다면 실비변상적인 금품으로 보아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22일 전 작성 됨
Q.
갑자기 그만나오라고 하는데 부당해고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5인 미만 사업장이면 근로기준법 제23조가 적용되지않아 부당해고 구제신청이 불가합니다.5인 이상 사업장이면 5일 출근했더라도 근로기준법 제23조가 적용되므로 사회통념상 근로자에게 귀책사유가 없다면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고사유 부당 외에도 해고는 해고일시와 사유를 구체적으로 적어 서면통보해야하므로 절차도 부당합니다. 노동위 구제신청을 혼자서하면 비용은 들지않습니다.
22일 전 작성 됨
Q.
4대보험안들어가는데 8만원을 빼고 월급 주는데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4대보험을 가입하지 않고 프리랜서로 계약을 하여 3.3.% 사업소득 공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