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형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전문가입니다.
김형준 전문가
청라 노동법률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주휴수당 같은것은 아르바이트에만 해당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 제 55 조에 따라서 주 일 회 유급휴일을 부여하는 제도로 기간제 근로계약자든 정규직 근로자든 아르바이트든 모두 대상입니다. 다만 주휴수당이 지급되려면 한 주 15시간 이상 근로를 하고 한 주 동안 소정근로일을 모두 개근해야 됩니다
임금·급여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알바 중 실수 한 걸로 시급 깎는 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근로자가 업무 수행 중에 발생한 소원에 대해서 배상 책임이 발생하는 것은 위법한 것이 아니나 사용자에게도 관리자 책임이 있으므로 전적으로 근로자에게 배상 책임을 물는 것은 문제가 됩니다. 근로자의 임금에서 근로자의 동의 없이 공지하는 것은 위법하며 손해배상에 대해서는 근로자의 동의를 받거나 근로자의 동의가 없다면은 임금에서 공제하는 것이 아닌 별도로 민사청구를 통해 해결해야 됩니다.
근로계약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직원이 출근 직전에 아파서 당일은 못나온다고 문자나 전화로 알린 경우, 무단 결근에 해당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회사가 5인 이상 사업장이거나 또는 근로계약당 근로기준법 제60조를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직원의 연차 사용으로 인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차 사용이 불가한 경우에는 결근하고 임금 삭감을 해야 됩니다.
근로계약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알바 한달하고 그만둬도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아르바이트 기간제 근로 계약자는 계약 기간 만료 전에 부득이한 사유가 있으면은 근로계약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물론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퇴사로 인해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피해가 사업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손해배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걱정 안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직장내괴롭힘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녹음이 없는데 이 경우 직장내 폭언으로 신고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말씀하신 내용상으로는 직장 내 교류 피임에 해당한다고 보입니다. 다만 회사에 신고를 해서 회사 자체의 내부 조사를 통해서 직장 내 괴롭힘이 인정이 되면 다행이나 제대로 된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경우가 문제입니다.이 경우 노동청에 신고를 하여 해결해야 하나 노동청에서는 확실한 객관적인 증빙이 없다면은 직장 내 괴롭힘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과장이 직접적으로 그런 폭언을 하는 것에 대한 녹음이 없으므로 인정되기 어려워 보입니다
586
587
588
589
5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