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제 연봉이 3200만원인데 급여금액은?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연봉 3,200만 원을 12개월로 나누면 월 급여는 약 266만 6,667원입니다. 월급을 기준으로 일할계산 시, 보통은 30일로 나누는 방식이 사용되며, 266만 6,667원 ÷ 30일 × 5일(7/16~7/20)로 계산하면 약 44만 4,445원 전후가 됩니다. 단, 회사가 실제 입사일 포함 여부나 일할계산 방식(30일 기준 vs 해당 월 일수 기준)에 따라 다르게 계산할 수 있으니 급여명세서를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Q. 2년 4개월 근무 뒤 퇴사시 연차수당 지급 기준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연차휴가는 입사 1년 미만 시 1개월 개근마다 1일씩 부여되고, 1년이 지나면 다음날부터 15일이 부여되며, 이후에는 2년마다 1일씩 가산됩니다. 따라서 2023년 2월 입사자의 경우 2024년 2월에 15일, 2025년 2월에는 추가 가산 없이 또 15일이 발생합니다.
Q. 퇴사 후 상실신고 안해줘서 근로복지공단에 요청했는데 아직도 처리가 안됐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퇴사 후 사업주가 산재보험 상실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근로자가 직접 근로복지공단에 상실신고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단은 사실조사와 사용자 확인 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보통 2~4주 이상 소요될 수 있습니다. 다만 1개월 이상 지연된다면 처리 담당자에게 직접 민원번호를 확인하고, 사실관계 확인서, 퇴직증명서 등 입증자료를 추가 제출하며 신속 처리 요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 시 국민신문고를 통해 지연 민원을 제기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Q. 버스 기사의 휴게시간 관련한 노무사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더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제44조의6의 입법 취지는 시내버스 기사의 장시간 노동과 졸음운전을 방지해 안전을 확보하자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배차 간격, 도로 정체, 회차지 미비 등으로 인해 휴게시간이 형식적으로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조적으로는 근로기준법상 감시·단속적 근로자 특례 적용을 줄이고, 배차 간격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지자체 차원의 표준 운행계획 수립, 회차지 내 휴게시설 법정기준화가 함께 이뤄져야 합니다. 또한 교대제 도입 및 전담 인력 확대를 통한 실질적 휴게시간 보장이 병행돼야 실효성이 있을 것입니다.
Q. 텃새부리고 타 직원을 괴롭히는 근로자에게 해고 통보..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지속적인 괴롭힘과 부당한 인수인계 거부, 물리적 접촉 등이 사실로 확인된다면 근로기준법상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징계나 인사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사규나 취업규칙에 따라 징계 절차(사전 통지, 소명 기회 등)를 거쳐 징계해고도 가능하며, 객관적 증거와 피해자 진술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합니다. 권고사직은 본인의 동의 없이는 불가능하므로, 원만한 정리를 원할 경우 일정한 위로금 제시와 함께 합의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습니다. 특히 5인 이상 사업장은 부당해고 소지가 없도록 절차를 철저히 진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