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소준헌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소준헌 전문가입니다.
소준헌 전문가
디앤제이, 매산연세통증의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보험
자격증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7일 작성 됨
Q.
내 몸에 맞는 베개 고르는 방법? 어떻게 보나요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우리 목의 커브는 20도 정도가 배게에서 적절하고, 천장을 보고 바로 누워서 주무실경우 배게 높이는 8~12cm가 적절하며 옆으로 돌려서 주무실때는 어깨 높이에 의해서 10~15cm가 적절합니다.또한 배게 자체가 많이 부드럽거나 말랑한것 보다는 살짝 딱딱하거나 눌렀다가 때면 바로 올라오는 고압축된 폼이 더 목에 부담을 덜어줍니다.너무 소프트하면 자세를 뒤척일때마다 목근육들이 계속 일을 하기때문에 나아지지 않습니다.마지막으로 배게를 2년정도에 한번은 교체해주시거나 솜으로 하시면 공장에 보내서 골고루 풀어서 다시 배게에 넣는 그런 방식을 취하셔야 높이가 유지되고 탄성력역시 보완이 가능합니다.답변에 도움이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7일 작성 됨
Q.
관절을 꺾어 뚜두둑 소리 내면 왜 시원한가요?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뚜뚝 하는 소리가 나는걸 팝핑사운드라고 이야기하는데요. 관절안에 있는 활액막이 움직이면서 액체를 끌어가게 되면서 안에 있는 공기가 기포를 형성할때 혹은 그 기포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를 말합니다. 콜라 캔 따실때 치익하면서 펑 소리나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소리 자체가 시원함을 유발하기도 하고 안에서 액체가 움직이면서 시원함을 느낄구도 있습니다.근육은 뼈에 붙어 있고 뼈는 인대로 연결이 되어 있는데, 심부에 깊숙하게 있는 곳은 근육이 컨택되기 어렵고 이런 뚜뚝 소리를 통해서 심부 근육이 풀어지는 케이스도 있습니다.관절 자체가 틀어진경우도 있을 수 있구요 그걸이용해서 교정을 한다고 표현하기도 합니다.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7일 작성 됨
Q.
무릎 강화에 도움이 될만한 운동이 뭐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은 대퇴부에서 내려가는 근육 그리고 허벅지 뒤쪽 근육, 오금근 등으로 구성되는데요.무릎뼈를 하방으로 민다음 대퇴사두근을 자극해서 위로 올려주는 운동이 있고다리를 쭉핀상태로 발목을 몸쪽으로 당긴 다음 허벅지를 들었다 내렸다 하는 운동수건을 무릎밑에 두고 눌러주는 운동아킬레스건에 수건을 놓고 눌러주는 운동벽에 기대서 스쿼트 하는 운동도 있구요.발목쪽에 밴드를 연결해서 뒷꿈치를 바닥에 박아 놓고 움직여서 오금쪽을 강화하는 운동도 있습니다.방향성에 따라서 엄청 많은 운동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우선 환자분이 다리를 쭉펴고 앉았을때 무릎 뒤에가 바닥에 닿지 않는다면 그걸 먼저 선행해보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또 무릎뼈를 위아래 좌우로 밀어보시고 잘 움직여지지 않거나 딱딱하다면 그근처를 풀어보시는것도 도움이 되실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7일 작성 됨
Q.
Dna주사와 프롤로 주사 맞는 중에 재활을 고려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주사를 맞으시면서도 재활은 가능하십니다.다만 실비보험의 한도가 있으시거나 하실수 있으니 주사맞는 날과 다른날짜로 재활을 받으시는게 조금더 나을듯 싶습니다.통증이 심하실경우는 주사로 통증을 먼저 낮추고 나서 재활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담당 의사 선생님과 충분한 상의를 하시고나서 재활을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답변에 도움이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6일 작성 됨
Q.
다리의 근육통이 지속되면 어떻게 처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허리에서 부터 시작해서 다리까지 내려가시면서 보시는게 더 도움이 되실것 같습니다.허리에서 긴장을 많이 했을 경우 종아리도 긴장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마사지볼이나 폼롤러 이용해서 하셔도 좋고 종아리쪽에 하트 모양에 가운데 부분을 눌러주는것도 효과가 있습니다.통증이 계속 수반되신다면 가까운 정형외과에 내방하셔서 주사치료나 약물치료를 받으시는것도 도움이 되실것 같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16
117
118
119
1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