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육아상담
Q. 아이가 음식을 먹을 때 딱 한 가지 음식만 먹으려고 할 때, 어떻게 다양한 음식을 먹도록 바꿔줄 수 있을까요?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만 먹으려고 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따라서 먼저 아이와 영양교육 관련 그림책이나 동영상을 이용해서 교육을 실시한 다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그림책은 식습관 시리즈(천개의 바람), 사계절은 맛있어, 백설공주는 먹는 것도 달라, 남길까? 먹을까?, 푸메, 꾸메와 함께 식당에 가요(상상스쿨) 등이 있습니다.그렇게 하면 이전보다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야채나 과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해서 요리활동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요즘은 시중에 파는 새싹채소, 버섯, 콩나물기르기 키트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아이와 함께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도 식습관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
Q. 아기가 낮잠을 거부하고 계속 깨어 있으려고 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가 계속 낮잠을 거부하고 깨어 있으려고 하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잠을 잘 수 있는 패턴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잠을 자려고 누워서는 책을 한권 읽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모든 준비가 다 되었다면 집안에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하고 암막커튼 등을 이용해서 빛을 차단하는게 수면 유도에 효과적입니다.그리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과 같은 기기는 다른 곳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매일 반복하다보면 아이도 익숙해질 것입니다.잠자는 방의 실내 온도(20~22℃) 및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방 안의 산소 공급을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틀어놓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Q. 아이가 다른 아이들과 잘 어울리는게 서툴때,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다른 아이들과 어울리는 것을 서툴러하는 아이 어떻게 도와줄 수 있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 사회성발달'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양육자가 일상생활에서 다른사람과의 관계에서좋은 본보기가 되어준다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해 도와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한 부모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