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송신애 전문가
누리유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10월 11일 작성 됨
Q.
원하는 장난감을 사주지 않으면 심하게 떼를 쓸 때,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까요?
아이가 원하는 장난감을 사주지 않으면심하게 떼를 쓸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먼저 마트에 가기 전에 아이와 약속을 하고 가야 합니다. 그리고 마트에 가는 목적을 말해줍니다.그런 후에 장난감을 사달라고 떼를 쓴다면단호하게 '오늘 마트에 장난감을 사러 온게 아니잖아'라고 말하며 자리를 떠납니다.보통 이렇게 하면 울고 떼를 쓰다가도 동태를 살피며 따라오기 마련입니다.그리고 집으로 돌아와서 아이가 안정이 되면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마트에서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부모님의 감정을 전달합니다.마지막으로 '다음에는 마트에 가서 장난감을 사달라고 떼 쓰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며 마무리를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11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벌을 줄때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일까요?
아이의 행동이 수정되지 않아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부정적인 행동을 소거하기 위해서는 벌을 주는 것보다는 칭찬이나 보상을 주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11일 작성 됨
Q.
아이가 공공장소에서 떼를 쓸때 어떻게 대처하죠?
공공장소에서 떼를 쓸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마트나 공공장소 등에서 이런 경우를 종종 봤을 것입니다.먼저 마트에 가기 전에 아이와 약속을 하고 가야 합니다. 그리고 마트에 가는 목적을 말해줘야 합니다.그런 후에 장난감을 사달라고 떼를 쓴다면단호하게 '오늘 마트에 장난감을 사러 온게 아니잖아'라고 말하며 자리를 떠납니다.보통 이렇게 하면 울고 떼를 쓰다가도 동태를 살피며 따라오게 됩니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와서 아이가 안정이 되면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마트에서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부모님의 감정을 전달하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다음에는 마트에 가서 장난감을 사달라고 떼 쓰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10일 작성 됨
Q.
콧물이 시작하는데요...무조건 병원 가야 할까요?
아이가 몇 개월이냐에 따라서 다를 수 있겠습니다. 단순히 맑은 콧물이라고 하면 지켜봐도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누런 콧물이 난다면 병원에 내원해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의 컨디션에 따라서 반응하는게 어떨까 생각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0월 10일 작성 됨
Q.
아이와 대화하는게 쉬운 부모 있을까요?
지나치게 아이의 눈높이에 맞추려고 하기보다는 일상적인 대화를 하려고 한다면조금 소통이 손쉬울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일방적으로 이야기를 하려고 하는 것보다는최대한 아이의 생각을 들어보는게 어떨까 생각됩니다. '우리 ㅇㅇ는 어떻게 생각해?, 우와 우리 ㅇㅇ는 그렇게 생각하는구나!'어른들이 사용하는 어휘가 아이의 문해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놀이
2024년 10월 10일 작성 됨
Q.
아이가 실수로부터배우도록 돕는 방법은?
실수를 통해서 배우도록 하는 방법은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입니다. 이 자율성이라는 것에는 책임감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안전이 보장된 상황에서의 자율성이 되어야 합니다.이러한 자율성 속에서 다양하게 경험을 하고이러한 경험은 다음의 동일한 사건에서 적용되게 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0월 10일 작성 됨
Q.
아이가 수업시간에 질문을 더 적극적으로 하도록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수줍음이 많은 이아가 질문을 자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아이들 말에 귀를 기울여주기, 지나친 지적 피하기, 부모와 타인 관계를 보여주기 등을 통해서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10월 10일 작성 됨
Q.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 부모가 할 수 있는 일은?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 부모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 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0월 10일 작성 됨
Q.
아이가 책을 좋아하게 만드는 방법은?
책을 좋아하는 아이게 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요즘은 아이의 공부, 독서 습관을 길러주기 위해서 텔레비전을 없애는 가정도 많이 늘었다고 합니다.대신 그 공간을 책상과 책꽂이로 채워 서재화시킨다고 합니다.아이가 공부를 할 때 아이 옆에 앉아서 책을 읽으면서아이가 힘들어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아이에게 책을 읽어주고 아이와 함께 동일한 책을 읽고 나눔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아이와 책을 읽고 나서 뒷이야기를 꾸며보거나 주인공과 같은 상황에 처했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주인공에게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인지 등의 대화를 나누면 좀 더 생각의 깊이를 더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런 활동들을 통해서 아이의 사고력 확장, 어휘력,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주말이나 휴일에는 도서관에 가서 책도 읽고 대출을 하는 것도 책읽기에 도움이 된답니다.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가 책 읽기를 생활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유아교육
2024년 10월 10일 작성 됨
Q.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 어떤 학습활동이 좋을까요?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516
517
518
519
5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