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영양사 일을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영양사 일을 하고 있습니다.

박예슬 전문가
그레이트푸드
기타 영양상담
기타 영양상담 이미지
Q.  비트라는 채소는 영양소적으로 어디에 좋나요?
비트의 효능은 고지혈증 환자와 고혈압 환자에 특히 좋다고 알려졌다. 예로부터 레드비트는 서양에서는 ‘땅속의 붉은 피’라는 별명이 있었을 정도로 좋은 효능을 다양하게 지닌 식품으로 알려졌다. 비트의 경우 엽산이 풍부한 음식으로 영유아의 척추 및 두뇌 발달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졌다. 비트를 꾸준하게 먹는 경우 디톡스 효과를 받을 수 있다. 쳬내 노폐물 제거는 물론 다이어트 효과까지 볼 수 있다. 비트의 경우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음식으로 알려졌다.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항암작용 및 항염작용의 역할을 한다. 특히 비트는 빈혈에 좋은 음식으로 적혈구 생성에 도움을 줘 철결핍성 빈혈 증상에 도움이 된다. 비트 속 베타인 성분은 혈관 청소부 역할을 한다. 혈관 영양제로 잘 알려진 크릴오일의 부작용을 호소하는 이들은 레드비트를 섭취하는 것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체네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는 물론 중성지방 감소 효과까지 얻을 수 있어 혈관계 질환 예방과 더불어 결장암, 위암 예방으로 좋다고 알려졌다.출처 : 데일리시큐(https://www.dailysecu.com)
기타 영양상담
기타 영양상담 이미지
Q.  미역국은 어떤 영양소가 풍부한가요?
미역국의 주재료인 미역은 요오드와 칼륨, 철분 등 미네랄이 풍부해 건강에도 좋아 한국인의 식탁에서 빠지지 않는 식품이다. 미역은 땀과 체온조절 기능의 갑상선호르몬(thyroxine)을 만드는 주요 구성성분인 요오드를 다량 함유한 대표적 해조류다.영양 듬뿍 담은 미역 효능은? 미역국 맛있게 끓이는 법 (hidoc.co.kr)
기타 영양상담
기타 영양상담 이미지
Q.  오리고기를 먹을때 오리기름은 몸에좋다는데 맞나요?
수용성 기름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기름은 물에 녹을 수 없다. 오리고기 기름 역시 마찬가지다. 오리고기의 기름이 수용성이라는 오해는 돼지고기나 소고기의 기름이 시간이 지나면 굳는 것과 달리 오리고기의 기름은 계속 액체 상태이기 때문에 생겨났다. 그러나 이 차이는 수용성·지용성 여부가 아니라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나뉜다.오리고기의 기름이 굳지 않는 이유는 불포화지방이 많기 때문이다. 상온에서 굳는 기름은 주로 동물성인 포화지방이다. 반대로 보통 식물성인 불포화지방이 많으면 상온에서도 액체로 남는다. 분자 구조가 그렇다. 버터와 마가린도 마찬가지다. 마가린은 비싼 버터를 대체하기 위해 생겨났다. 우유 속 지방이 원료인 버터는 그냥 둬도 굳지만 마가린은 상온에서 굳지 않는 콩유, 옥수수유 등에 수소 등이 첨가돼야 한다.오리기름에 불포화지방이 많은 건 사실이다. 그리고 불포화지방은 상대적으로 건강에 이롭다고 알려져 왔다. 체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포화지방은 건강에 좋고 포화지방은 건강에 나쁘다고 할 수 없다. 포화지방은 피하지방의 필수 성분으로 오히려 당뇨를 예방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문제는 지방 자체를 많이 섭취하는 데에 있다.중요한 건 오리고기엔 포화지방도 많다는 사실이다. 식약처의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오리고기 100g에는 포화지방 6.2g, 불포화지방 11.8g이 들어있다. 같은 양의 소고기 안심에는 포화지방 4.9g 불포화지방 6.2g, 돼지고기 목살엔 각각 5.9g, 8.6g이 들어있다. 두 부위와 비교했을 때 오리고기는 포화지방 및 총지방 함량이 높다.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8/12/2022081202009.html
환자 식단
환자 식단 이미지
Q.  당뇨가 있는 사람이 먹기 좋은 음식이 무엇이 있을까요?
쌀밥, 바게트, 면, 도넛, 떡, 감자는 당지수가 높은 음식이고, 땅콩, 미역, 우유, 버섯은 당지수가 낮은 음식이므로 당지수가 높은 음식은 피하고 낮은 음식을 먹도록 해야 합니다. 과일중에는 바나나, 사과는 당지수가 낮으나 수박, 감은 당지수가 높으므로 과일 섭취에서도 유의해야 합니다. 평소 흰쌀밥보다는 잡곡밥을 먹는 것이 좋고, 또 편의점 등에서 인스턴트 음식을 먹을 때는 식품영양성분 표시를 보고 영양소의 양과 종류를 확인한 뒤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또한 최소한 일주일에 1~2번은 샐러드를 먹는 것이 좋고, 밥을 먹을 때는 밥 반 공기 정도로 양은 줄이고 대신 삶은 달걀이나 바나나, 견과류 등을 준비해서 보충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도시락을 준비할 여력이 된다면 잡곡밥과 바나나, 샐러드, 버섯, 두부, 저지방 우유, 콩, 김치 등 위주로 준비해 섭취하면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도시락 준비가 어려운 경우에는 회사 근처 샐러드 전문점을 이용하거나, 요즘은 당뇨 식사를 배송해주는 업체도 많이 있어서 식사 준비가 어려운 경우 이런 업체를 이용해도 좋습니다.[출처] :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763807 | 하이닥
식습관·식이요법
식습관·식이요법 이미지
Q.  제가 역류성 식도염 때문에 고생하고있어요
역류성 식도염에는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고, 지방은 제한 하도록 합니다.식후 30분 정도 앉아 있도록 합니다.조금씩 자주 먹도록 하며 식사는 천천히 하도록 합니다.
1011021031041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