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육아로 인한 퇴사사유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이럴 경우 퇴직원의 퇴사 사유에 육아로 인한 퇴사가 적용이 될까요?추가로 실업급여 수급 요건도 될지 문의드립니다![답변]사업장 폐업으로 인해 다른 지점으로 발령받았으나, 육아로 인해 업무 수행이 불가한 경우 퇴사할 수 있습니다.또한, 자발적 퇴사라고 하더라도 육아 등으로 인해 업무 수행이 어렵고, 사업주와 해결점을 찾지 못해 퇴직하였음이 객관적으로 확인된다면 정당한 퇴직사유로 인정되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산재처리와 공상처리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회사에서 업무을 하다가 다치게 되면 산재처리와 공상처리를 할 수가 있는데 이 두가지 처리방법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답변]산재처리는, 근로복지공단에 산재 급여를 신청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공상처리는 산재 신청을 하지 않고 알아서 병원 치료를 받고 난 후 치료비를 사업주로부터 지급받는 것을 의미합니다.산재는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급여를 지급받기 때문에 사업주의 부담이 줄어들고 정해진 절차를 거쳐야하지만, 공상처리는 사업주가 직접 이를 지급해야하기에 금전적 부담이 클 수 있고, 특별한 절차를 요하지 않아 쉽고 빠른 처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구조조정을 할때 보통 기준이 따로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경제뉴스를 보다보면 회사에서 구조조정을 실시한다 등 여러가지 기사들이 실리는데구조조정을 할때는 뭔가 기준이 있는건가요?단순한 회사의 내규인가요?[답변] 회사의 내규로 구체화하거나 추가 조항을 두기도 하지만, 근로기준법 제24조에 의한 요건을 갖추어야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요건은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 해고회피노력, 합리적이고 공정한 기준 설정 및 대상자 선정, 50일 전 통보 및 성실한 협의로 크게 총 네가지입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