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 건국이래 가장 크게 경제가 발전한 시기는 언제부터 언제까지 인가요?
우리나라가 경제적으로 가장 크게 발전한 시기는 1962년부터 추진한 경제 개발 계획 시작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로 평가됩니다. 특히 1970~1980년대 '한강의 기적'이라 불릴 정도로 고도성장이 집중된 시기입니다. 이 시기는 중화학 공업으로 산업 동력을 전환하고, 전자, 자동차, 조선 공업이 집중되었으며 산업 인프라가 구축된 시기입니다. 우리나라는 경제 개발 계획 시작 직전인 1961년 1인당 국민소득이 82달러가 1979년 1636달러로 20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1995년에는 1만달러가 넘어갔습니다.
Q. 윤석열 정부가 일본과의 외교에서 굽신 외교를 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윤석열 정부는 대일외교에서 굽신외교라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이는 윤석열 정부가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과거사, 경제 안보 등 현안을 포괄적으로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일본에 더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당시 윤석열 정부는 강제징용, 위안부 등 과거사 문제를 신속히 매듭짓고 미래지향적 협력, 안보 공조(특히 미국과의 3각 협력) 강화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하지만 일본이 과거사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나 책임 인정 없이 한국이 먼저 양보하는 모습이 반복되면서 위안부, 강제 징용 피해자와 시민 사회 단체 등이 저자세, 굴율적 외교라고 비판했던 것입니다.
Q. 정명사상과 병자호란의 관계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정명사상은 조선이 명나라를 정통 중화로 섬기며, 명에 대한 의리와 사대를 국가 정체성의 핵심으로 삼았던 사상입니다. 즉 임진왜란 당시 조선을 도와 왜군을 격퇴한 재조지은의 은혜에 감사하는 숭명의식에 대한 의식입니다. 그러나 1636년 후금이 청으로 개명하고, 조선에 사대를 요구해 왔습니다. 당시 조선은 정명사상을 바탕으로 서인의 김상헌, 정온 등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는 척화파와 최명길 등 남인들은 현실적으로 전쟁 지속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백성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청과 화친을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다수의 서인은 정명사상에 기반한 척화파가 사대 요구를 거부하면서 병자호란이 발발하게 되었습니다.
Q. 영국 엘리자베스 1세가 스페인 무적함대를 격파하고 연설한 내용은 무엇인가요?
영국의 엘레자베스 여왕은 1588년 스페인 무적함대 침공 당시 텔버리에서 병사들에게 "나는 연학고 허약한 여인의 몸을 가졌으나 내 마음과 용기는 왕, 그것도 왕의 것임을 안다. 파르마나 스페인, 유럽의 어떤 군주도 내 왕국의 경계를 침범하느 것은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필요하다면 내가 직접 무기를 들고 여러분과 함께 싸울 것이다."라고 연설하였습니다. 이 연설은 즉각적인 군사들의 사기를 크게 높였고, 영국 국민들엑 자긍심과 단결심을 심어주었습니다. 또한 여왕은 이 연설을 통해 국민과 함께하는 군주, 강인한 리더라는 이미지를 확립하였습니다.
Q. 선덕여왕이 끝까지 왕권을 지킬수 있었던 이유는?
선덕여왕은 즉위 전후로 발생한 칠숙과 석품의 반란을 진압하고, 엄격하게 처벌해 반대 세력을 제압하였습니다. 김유신, 김춘추 등 신흥 귀족을 등용해 군사권과 정치권을 장악하고, 이들과 협력으로 왕권을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분황사, 영묘사 등 사찰을 건랍하여 불교를 통해 신성성과 왕권의 정당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민생을 안정시키고, 대당 외교를 통해 대외적으로 정통성을 확보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