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신라의 국학이 가르친 내용은 무엇인가요?
신문왕 시기인 682년 설치한 국학은 유교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왕권을 보좌하게 하였습니다. 국학에서는 주로 유교 경전을 가르쳤습니다. , , , , , , , 등을 학습하였습니다. 이 중 논어와 효경은 필수 과목으로 중시되었습니다. 국학은 최고 관리자인 '경', 그리고 박사, 대사, 사 등의 관리를 두어 운영하였습니다. 입학 자격은 신분 제한이 없었지만 주로 6두품 이하의 신분이 많이 입학했습니다. 그리고 원성왕 때는 졸업 시험인 독서삼품과를 통해 관리를 임용되었습니다.
Q. 문주왕이 웅진으로 천도한 이유가 뭘까요?
문주왕이 웅진으로 천도한 이유는 아버지 개로왕이 고구려의 침략을 받아 한성이 함락되고 국가적 위기를 겪으면서 백제의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백제의 재건을 위해 천도를 한 것입니다.475년 한성이 무너지고, 개로왕이 전사하면서 한성은 더 이상 도읍으로서 기능이 없었습니다. 반면 웅진은 금강을 끼고 있어 방어에 유리하고, 고구려의 남하 위엽을 효과적으로 방어에 유리한 군사적 요충지였습니다. 게다가 수로를 이용하여 서해로 연결되어 있으며, 곡창지역을 배후에 두고 있고 잇습니다. 이런 이유로 백제의 재건을 위해 부왕의 명을 받아 문주왕은 웅진으로 천도한 것입니다.
Q. 만약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지 않았다면?
만약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지 않았다면 조선 사회는 계속하여 한자를 사용하였을 것입니다. 한자는 공식 문자로 배우기 어렵고 양반들의 전유물이었습니다. 따라서 일부 특권층만 한자를 읽고 쓰고, 일반 백성들은 문자 생활에서 소외되었을 것입니다. 백성들은 자신의 의사를 글로 표현하거나 억울함을 호소할 기회가 없었을 것입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민족 정체성과 언어 발전에도 제한적일 것입니다. 오늘날 전 국민이 쉽게 읽고 쓰는 문자로서의 한글이 없으면 교육, 문화, 과학 등 발전에 한계가 있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