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불교의 상징인 석가모니는 자손이 있나요?
석가모니는 실제 결혼을 했었습니다. 그는 왕자 신분이었을 때 아내 야소다라와 사이에 아들 라훌라를 두었습니다. 아들 라훌라는 부친의 출가 후 곧 불교 승려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후에도 석가모니 직계 후손으로 대를 이어간 기록은 없습니다.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 대통령의 연임 혹은 중임제 필요성?
현행 87년 9차 개헌은 5년 단임제입니다. 이는 대통령의 재임 기간 장기적 정책을 추진하기에 어려운 기간입니다. 즉 정책의 일관성과 연속성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연임제, 중임제는 대통령 1기 동안 국민의 평가를 받는 재신임으로 정권을 연장할 수 있으나 단임제는 책임 정치가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단임제는 당선과 동시에 레임덕으로 이어져 권력 누수 현상이 심각합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연임, 중임제 개헌의 필요성이 제기됩니다.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불교는 인도에서 탄생한 것으로 아는데 왜 인도에는 불교를 믿는 사람이 없나요?
인도에서 기원전 6세기 불교가 창시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현대 인도에서는 불교신자는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이는 굽타 왕조 시대 힌두교가 인도의 국교로 자리잡으면서 불교가 사회적 기반이 약화되었습니다. 힌두교는 불교의 많은 교리를 흡수하거나 변형하여 포용하였던 것입니다. 그리고 인도가 이슬람 세력의 침입과 정복 과정에서 불교에 대한 탄압이 심화되어 인도에서 급격히 쇠퇴한 것입니다.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 까마귀가 흉조라고 불리는 이유가 있나요?
고구려에서는 삼족오가 국가의 상징이었고, 신라에서도 까마귀는 왕의 목숨을 구하는 귀한 새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조선시대 이후 중국의 영향으로 흉조로 변화된 것입니다. 중국은 붉은 색을 귀하게 여기고 검은색을 상극으로 여겨 흉조로 간주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조선사대부들도 중국의 색채관을 받아 까마귀를 부정적으로 보기 시작했습니다.특히 명나라 멸망 이후 청나라의 국조가 까마귀엿던 점도 조선 시직인들의 반감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리고 일제는 고구려의 상징이던 까마귀의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흉조로 왜곡해 민족 정기를 약화시키려 했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전쟁이나 재난 등으로 시체가 많은 곳에 까마귀가 모이는 것으로 보고 죽음과 관련된 흉조로 보닌 인식이 커졌습니다.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고려장이라는 용어를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려장은 정말 있엇던 일이었나요?
고려장은 고려시대 병들거나 늙은 사람을 산채로 산에 버리는 장례 풍습이라고 전합니다. 그러나 이는 일제 강점기 식민사관에 의해 조작된 것입니다. 일제는 우리 역사를 왜곡, 부정하여 한국인에게 열등감을 심화시켜 효율적으로 한국인을 통치하려 했던 것입니다. 오히려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의 '우바스테야마(할머니를 버리는 산)' 전설에서 유래해 한국에 왜곡·전파된 것입니다. 실제 일본의 실제로 고려는 반역죄외 불효죄를 가장 엄격하게 처벌하였기 때문에 고려시대에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186
187
188
189
1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