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려의 중서문화성과 도병마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고려의 중서문하성은 최고 정무기관으로 정책 입안하고 행정, 왕명을 집행하는 등 국가 정무를 총괄합니다. 문하시중, 평장사 참지정사 등 고위 관료인 재신이 구성원으로 되어 있으며, 3품 이상의 낭사는 간쟁을 담당합니다. 도병마사는 군사 및 국가 중대사를 논의하는 합의제 기구로 중서문하성의 재신과 중추원의 고관인 추밀 등 고위 관료가 모여 회의를 통해 군사 문제를 논의하는 의결 기구입니다. 이후 국가 주요 정책까지 논의하는 기구로 확대되었습니다.중서문하성은 당의 제도를 수용한 것이고, 도병마사의 고려의 독자적인 기구로 임시기구에서 점차 기능이 확대되어 갔습니다.
Q. 원종과 애노의 난이 발생한 결과는 무엇이었나요?
원종과 애노의 난은 889년 신라 진성여왕 때 상주에서 발생한 대규모 농민 반란입니다. 당시 중앙의 진골 귀족들이 왕위 장탈전과 사치와 부패하였으며, 농민들을 수탈을 심각했습니다. 또한 지방에서는 호족들이 반독립적인 세력으로 성장하여 농민들은 이중수탈에 시달렸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곳곳에서 농민 반란이 일어났으며, 원종, 애노의 난은 정부군이 진압하지 못할 정도로 거셌습니다. 실제로 정부가 파견된 영기는 반란군을 두려워해 진격하지 못하고 지역 촌주 우련이 싸우다 전사하는 등 진압이 실패로 끝났습니다. 이후 전국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으며, 신라가가 후삼국 시대 분열로 이어지는 결정적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Q. 원효 스님의 대표적인 업적이 무엇인가요?
신라는 삼국시대 불교가 전파되어 법흥대 왕실과 귀족 중심으로 신앙화되었습니다. 원효는 귀족 중심의 불교를 민중에게 널리 전파하여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특히 원효를 아미타 신앙을 전파하고, 무애가를 통해 불교의 대중화를 이끌었습니다. 또한 당시의 불교 화쟁사상을 통해 불교 내 여러 종파와 사상의 대립을 조화롭게 통합하려는 하였습니다. 모든 존재는 하나라는 일심사상을 확립하였습니다. 이 두 사상은 한국 불교의 중요한 철학적 토대가 되었습니다.그는 또한 , , 등 90부 200여권에 달하는 저술을 남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