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스코틀랜드나 여진족의 침탈의 실제 어느 정도였나요?
스코틀랜드와 영국은 오랫동안 침략과 반격을 반격하였습니다. 13~16세기 동안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의 북부를 여러 차례 침공했습니다. 1512년 프랑스와 동맹을 맺어 잉글랜드를 공격하기도 했습니다. 서로 해적 활동과 해상 습격이 있었으며, 육로를 통한 국경 침입이 잦았습니다. 조선은 교린 정책에 따라 무역소를 설치하고 교역을 허용하고, 귀순을 장려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여진족은 자주 국경을 침탈이 빈번했으며, 마을 약탈, 인명 피해, 가축 약탈이 반복되었습니다. 이에 세종은 4군 6진을 개척하고, 성종 때에는 백두산 바깥으로 여진족을 쫒아내기도 했습니다.
Q. 마르크 샤갈은 어떠한 인물인지 궁금합니다.
샤갈은 러시아(현재 벨라루스)의 비테프스크 출신의 20세기 유대계 프랑스 화가입니다. 그는 화려한 색채와 시적 상상력, 동화적이고 환상적인 이미지로 '색채의 마술사'라고 불립니다. 샤갈은 유년 시절의 기억, 고향 풍경, 유대인 정체성, 사랑, 가족, 종교적 상징 등을 주로 작품에 담았습니다. 그의 작품 세계는 꿈과 환상, 강렬하고 화려한 색채, 입체파, 야수파, 초현실주의 등 다양한 사조를 융합하였습니다. 그의 대표작으로 '나와 마을', '바이올린을 켜는 사람', '결혼식 촛불' 등이 있습니다. 그는 2차 대전 때 나치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햇던 난민이기도 하며, 전후 프랑스에서 작품 활동을 하였습니다.
Q. 약한고리가 어떤의미로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약한 고리"란 사슬에서 가장 약한 부분이 전체의 강도를 결정한다는 의미입니다. 조직이나 시스템, 국가 등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즉 아무리 전체가 강해 보여도 한 부분이 약하면 그 부분 때문에 전체가 무너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경제, 정치, 사회 등 다양한 부분에서 전체를 위태롭게 하는 취약점을 지적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정치 뉴스에서는 한 조직이나 연합 내에서 가장 취약한 구성원, 약한 정책, 외교적 약점 등을 '약한 고리'라 부르며, 이 부분이 공격받거나 문제를 일으키면 저체가 흔들릴 수 있음을 강조하는 데 사용합니다.
Q. 유목민에게는 양과 소가 어떤 영향력을 나타내는지 궁금합니다.
유목민에게 양과 소는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며,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 자산입니다. 양은 유목민의 가장 기본적이고 많은 가축으로 고기와 젖, 양털에 쓰입니다. 양의 수가 많을수록 가곶의 생계와 생활 수준이 안정됩니다. 소는 힘에 세고 몸집이 커 눙경, 운반에 활용했고, 고기 및 젖을 생산하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소를 많이 가진 집안은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집안으로 여겨졌습니다. 가축 수가 많을 수록 유목민 사회에서 부와 권력, 사회적 신뢰가 커집니다.
Q. 우리나라에는 미국 선교사님들이 건너와서 세우신 병원이나 학교가 많이 있고, 명문이 되었는데, 선교사님들이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선교하신 행적은 그외에 무엇이 있나요?
미국 선교사들이 근대화 시기에 설립한 병원으로 제중원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평양연합기독병원, 해리스기념병우너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학교로는 연희전문학교, 이화학당, 숭실학교, 배제학당, 정신여학교 등이 있습니다. 선교사들은 이와 같이 병원과 학교를 설립하고, 근대적 가치와 민주주의, 인권의식을 전파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또한 서양식 의복, 음식, 건축 등의 서양 문물을 도입의 주도적 역할을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