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사자성어중 불취무귀라는 뜻은 누가 말했고 어떤 뜻인가요?
불취무귀(不醉無歸)는 '취하지 않으면 돌아가지 않는다'라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이는 조선의 정조가 알성시에 합격자들과 연회를 하면서 신하들에게 술과 음식을 내리면서 한 말로 전해집니다. 정조는 모두가 기쁨을 나누고 풍요로운 삶을 함께하길 바라는 의미를 강조하고자 한 것입니다. 즉 모두가 흠뻑 즐기고 행복한 시간을 보내자는 의미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본래 의 소아 '잠로(湛露)'에 나오는 구절인데, 정조가 건배사로 사용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동국가는 종교법이 다있는지 이 종교법이 어떻게 만들어진건가요
중동 국가 대부분은 종교법, 특히 이슬람법(샤리아)을 법체계의 중요한 부부분으로 두고 있습니다. 이 지역의 주요 법률은 쿠란과 무함마드의 언행록에 근거해 만들어졌습니다. 이런 종교법은 무슬림의 정치, 사회적으로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면서 발전했으며, 국가 통치의 근간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대이집트는 다른 종교나 유대교의 대해서 조화로웠나요
고대 이집트는 약 3000년에 걸쳐 긴 역사 동안 다양한 신을 믿는 다신교 사회였습니다. 이집트 종교는 지역마다 다양하며, 신과 신화가 존재하고 외부에 유입된 신이나 사상도 포용적이었습니다. 또한 그리스, 로마 지역에 영향을 주었으며, 외부 신앙도 이집트에 수용되었습니다. 즉 고대 이집트는 다양한 신을 믿으며 외래 신앙도 받아들이며, 종교적으로 비교적 관용적이고 조화롭게 공존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아시아국가에서 역사적으로 유대교를 탄압했던 사례가 있나요
유럽 국가들과는 다르게 아시아 국가는 유대인을 탄압한 것을 드뭅니다. 하지만 중앙아시아의 부하라 아미르국(우즈베키스탄 일대)은 이 지역의 유대인에 대한 특별세 부과, 거주지 제한 등 차별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최근 20세기 소련 등 일부 공산국가에서 유대인을 종교적, 민족적으로 차별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히메르왕국도 유대교 왕국이었다고 하는데 어떤 곳이었나요
히메르 왕국은 기원전 2세기경부터 6세기까지 고대 아라비아 반도 남서부 오늘날의 예멘 지역에 있었던 왕국입니다. 히메르 왕국은 본래 아라비아의 다신교를 맏었으나 4세기말 ~ 5세기 초에 왕실과 지배층이 유대교로 개종하였으며, 이로 인해 아라비아 반도에서 드물게 유대교를 국교로 삼은 국가가 되었습니다. 이웃 기독교 왕국인 에티오피아의 악숨 왕국과 종교적으로 대립하게 되었습니다. 6세기 히메르 왕국의 유대교 왕 유수프 아스아르는 기독교인들을 반박하자 악숨 왕국(에디오피아)이 침입하여 525년경 멸망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교황선출하는 방식인 '콘클라베'의 유래와 방식이 설명해주세요
콘클라베는 라틴어인 'cum clavis(쿰 클라비스, 열쇠로 잠근 방)’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교황 선출을 위해 추기경들이 외부와 차단하고 투표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13세기 교황 선출이 지연되면서 외부 간섭이 심해질 때마다 추기경들이 한 장소에 가두고 물과 빵만 제공하며 빠른 결정을 유도한 데서 유래되었습니다. 콘클라베 방식은 교황이 선종한 직후 바티칸의 시스티나 성당에 모여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숙식하며 비밀리에 진행합니다. 하루 최대 네차례까지 실시하며, 투표에서 2/3 이상 득표자가 나와야 새 교황이 선출됩니다. 결과는 굴뚝 연기로 알리는데 검은 연기는 미결, 흰 연기는 새 교황 선출을 의미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전자레인지를 만든 사람은 누구인가요??
전자렌지는 미국의 엔지니어 퍼시 스펜서가 1945년에 발명한 것입니다. 그는 레이더에 사용되는 마크네트론을 연구하다가 우연히 주머니 속에 있던 초코릿바가 녹는 현상을 보고 마이크로바가 음식을 가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여러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이 원리를 바탕으로 1947년 레이시온사에서 최초의 전자레인지 '레이다레인지'를 만들어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천민이 양반이 된사례가 많았나요?
조선 초기 신분제가 매우 엄격하여 천민이 양반에 이른 경우는 극히 드물었습니다. 예외적으로 장영실은 동래의 관노 출신었지만 세종의 명령으로 관직에 임명되어 신분이 상승한 사례입니다. 그렇지만 이는 매우 이례적인 것입니다.하지만 조선후기 양난 이후 국가 재정이 어렵게되자 공명첩, 납속이 시행되면서 하층민의 신분 상승이 노골화되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노비가 신분을 상승시키는 경우도 종종 있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사학과를 나오면 박물관으로 많이들 취직한다고 들었는데, 박물관 가면 정확히 어떤일을 하나요??
사학과, 고고학과, 고고미술학과 등 역사 관련 학과를 졸업하면 박물관의 학예사로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예사는 전시 기회 및 운영을 주도하며, 소장품 관리 업무에 종사합니다. 그리고 관람객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시 해설이나 문화 행사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소장품에 대한 연구 및 발굴 조자 등올 포함합니다. 그외에도 박물관 홍보, 자료실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청송 최씨 시조 최경이 해주 최씨를 쓰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청송 송씨는 해주 최씨에서 분파된 성씨입니다. 실제로 청송 최씨 시조 최경은 해주 최씨의 시조인 최온의 13세손이라 합니다. 하지만 그가 해주 최씨가 아닌 청송 최씨라는 별도의 본관을 쓰는 이유는 우선 조선 시대 이후 본관은 주로 한 집안의 중요한 지역에 정착하여 해당 지역에서 크게 활약한 경우 새롭게 분파하여 정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이유로 최경은 예조판서로 경북 청송에 정착하여 후손들이 번성하였습니다. 따라서 '청송'이라는 본관으로 삼은 것입니다.
1961971981992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