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편의점 주휴수당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주휴수당은 다음의 요건 충족 시, 받을 수 있습니다.4주 평균 1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가1주간 소정근로일에 개근한 경우근로계약을 통해 월요일, 화요일에 각 7시간씩, 격주로 수요일에 7시간을 근무하기로 정한 근로자의 경우, 4주를 평균하면 1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7.5시간이 되므로, 매주 소정근로일에 개근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Q. 월차 (수습기간포함) 생성일자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상시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인 사업장은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근로자에게 연차 유급휴가를 부여하여야 합니다. 근로자가 2025년 5월 19일에 입사한 경우,2025년 5월 19일~6월 18일까지 개근한 경우, 6월 19일에 1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합니다.취업규칙 등 내규를 통해 연차 유급휴가 선사용을 허용하는 회사도 있으나, 별도의 규정이 없다면 원칙대로 연차 유급휴가가 발생한 이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행정해석에 따르면, 당사자 간 합의를 통해 연차 유급휴가를 시간단위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회사 내규에 연차 휴가 분할(반차, 반반차 등) 사용에 관한 내용이 명시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보시기 바랍니다.수습기간이라는 이유로, 이미 발생한 연차 유급휴가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면, 근로기준법 제60조 위반에 해당하므로, 사업장 소재지 관할 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Q. 공장이 전소된 아리셀이나 금호타이어의 공장직원들은 급여를 어떻게 받나요?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46조에 따라,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휴업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업기간 동안 그 근로자에게 평균임금의 70% 이상의 휴업수당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다만, 평균임금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이 통상임금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상임금을 휴업수당으로 지급할 수 있습니다.다만,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노동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평균임금의 70%에 미치지 못하는 휴업수당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만약, 해당 화재가 회사의 시설관리 소홀 등으로 인해 발생하였다면, 이는 사용자의 귀책사유에 해당하므로, 근로기준법 제46조 제1항에 따라 휴업수당(평균임금의 70%) 지급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5월1일 근로자의 날 근무시 수당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매년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에 따라, 근로기준법에 따른 유급휴일로 보장되는 날입니다.따라서, 근로자의 날은 5인 미만 사업장에서도 유급휴일로 보장해야하는 날에 해당합니다.근로자의 날은 출근하지 않아도 1일 통상임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유급휴일이므로, 근로자가 출근하여 근무할 경우, 휴일근로에 대하여 임금을 추가로 지급(근로시간×통상시급)하여야 합니다.[참고]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하고, 이 날을 「근로기준법」에 따른 유급휴일(有給休日)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