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승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철 전문가입니다.
이승철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휴일·휴가
2022년 8월 7일 작성 됨
Q.
허리디스크로 인한 퇴사시 실업급여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현 직무를 계속 수행할 경우 병이 악화될 수 있다는 내용의 의사의 진단서, 회사 사정상 다른 직무로 전환할 수 없다는 사업주 확인서 등이 필요합니다. 회사에서 이직확인서를 발급해주지 않을 경우에는 일정한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기타 노무상담
2022년 8월 7일 작성 됨
Q.
회사에서 연월차를 못사용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⑦ 제1항ㆍ제2항 및 제4항에 따른 휴가는 1년간(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의 제2항에 따른 유급휴가는 최초 1년의 근로가 끝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된다. 다만,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연차유급휴가가 발생한 날로부터 1년 동안 사용하지 못하였다면 미사용수당으로 발생하는 것이 원칙이고, 연차유급휴가 사용촉진(근로기준법 제61조 참고)을 적법하게 한 경우에만 미사용수당에 대한 사용자의 보상의무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상황이라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미사용수당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임금·급여
2022년 8월 7일 작성 됨
Q.
현재 재직중이 회사의 연장/휴일 근로 보상 정책이 아래와 같은데 문제가 없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선택적 근로시간제에서 연장근로는 정산기간에 있어 총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하는 시간에 지급될 수 있습니다. 또한 선택적 근로시간제 하에서는 정산기간에 있어 총 근로시간만 정해지므로 실제 연장근로를 하였는지 여부는 정산기간 이후에 알 수 있습니다.선택적 근로시간제에서느 의무 근로시간대가 휴일에 걸쳐 있는 경우에는 야간근로수당이 발생할 수 있으나, 선택적 근로시간대에 휴일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지시 또는 승인이 있는 경우 가산수당 지급의무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근로자가 임의로 자발적으로 근로한 경우에는 가산수당 지급 의무가 없습니다.
임금·급여
2022년 8월 6일 작성 됨
Q.
월급 전액지연 실업급여 조건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피보험 단위기간을 60일이 아니라, 180일을 채워야 합니다. 다만 이전 직장에서의 기간을 합산할 수 있다면 위 내용이 맞을 수는 있습니다.
휴일·휴가
2022년 8월 6일 작성 됨
Q.
퇴사시 법적으로 퇴사통보기간이 정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민법 제660조(기간의 약정이 없는 고용의 해지통고) ①고용기간의 약정이 없는 때에는 당사자는 언제든지 계약해지의 통고를 할 수 있다.②전항의 경우에는 상대방이 해지의 통고를 받은 날로부터 1월이 경과하면 해지의 효력이 생긴다.③기간으로 보수를 정한 때에는 상대방이 해지의 통고를 받은 당기후의 일기를 경과함으로써 해지의 효력이 생긴다.사용자가 근로자의 사직 의사를 즉각 수리한 경우에는 문제되지 않으나, 수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 법규정이나 근로계약서 내용에 따라 일정기간 근로관계를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 이 기간 중 출근하지 않을 경우 무단결근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206
207
208
209
2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