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그래 라는 말은 참 정답기도하고 차갑기도 한거 같은데 한글의 위대함은 이런걸 예측하고 만든걸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한글은 뜻을 가진 문자가 아니라 표기하는 문자입니다. '그래'라는 것은 한글이 있기 전부터 사용되며 전해내려온 '말'입니다. 한글은 그러한 말을 글로 표현하는 수단입니다. 세종대왕이 그러한 말까지 만들지는 않았습니다. 우리말에는 예전부터 중의적인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맞다'와 같이 옳다는 뜻, 어떤 것이 물리적인 힘에 의해 닿거나 했다는 뜻 (비, 눈, 신체적 접촉)과 같이 전혀 다른 뜻이 있는 것도 있습니다. '아니'와 같이 부정의 뜻으로 쓰거나 사양의 뜻으로 쓰거나 기존에 하던 말이나 분위기를 전환하기 위해 전환의 전속사로 쓰는 말도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아름다운 말들을 문자로 기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한글을 창제한 것이 세종대왕의 업적입니다.
Q. 왜 우리나라 사람들은 시작할 때 "아니.."라는 말을 붙일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질문 주신 쓰임으로 본다면 한국어 구어체에서 '아니'는 '감탄사'로 직관적으로 우리가 아는 No의 뜻이 아니라, 놀람 & '그런데' 등과 함께 사용되면서 전환의 의미를 가지는 접속사의 성격도 있습니다. 공식적 품사로는 놀람, 의아, 강조 등과 같은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감탄사입니다. 접속사는 아니지만 접속사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은 앞의 대화에서 분위기를 바꿔 전환하는 용도로도 쓰이기에 그러한 성격으로도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Q. 그리스 신화가 오늘날 서양 문화(문학, 영화, 언어 등)에 미친 영향의 예시는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그리스 신화는 서양 문화에 미친 영향이 엄청납니다. 특히 문학과 예술, 정치 등 다양하게 영향을 주었습니다.당시부터 지금가지 서양 문학과 예술에 모티브가 되고 있으며, 신화에 나오는 자연현상, 인간의 행동, 신들의 이야기 등은 비판적 관점과 재해석을 통해 현대 사회에도 통용되고 있습니다. 예술에 있어서는 시각, 조각, 문학, 영화 등 다양하게 그 인물들과 존재, 도덕적 가치, 철학적 사유 등을 제공하여 현대 문화에 영양을 주고 있습니다. 여전히 그리스 로마 신화와 그 인물들을 주제로 한 영화가 만들어지고, 근래에 들어서는 그에 관련한 게임도 만들어지는 것으로 보면 고대의 신들이 함께 하던 시대의 이야기가 지금 많은 산업의 근간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