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역사
역사 이미지
Q.  문익점이 고려시대 때 목화씨를 가지고 왔다고 했는데 원래 가져오면 안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익점이 원나라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목화밭을 보고 목화를 고국으로 들여와서 키우면 백성들이 겨울에도 따뜻하게 생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같이 갔던 시종에게 목화씨를 따오라고 시켰습니다. 그 이후 실을 짜서 옷만드는 기술이 발달하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문익점이 목화씨를 붓대에 넣어 몰래 가지고 왔다는 이야기가 정설처럼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당시 원나라에서 수출 금지 품목은 화약과 지도 같이 전쟁, 군사력과 관련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문익점의 전환적인 역할에 대해 목화씨를 가지고 온 지 100년이 지난 후 김굉필이라는 사람이 그의 공을 기리는 시를 쓰면서 그 내용에 ‘문익점은 남몰래 목화씨를 주머니에 넣어 가져왔다.’고 표현한 그 내용에 후대에 살이 붙어 붓대 속에 몰래 넣어 가지고 왔다고 와전된 것입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고려시대가 아닌 삼국시대에도 목화를 이용해 짠 옷감이 발견되면서 문익점이 최초로 들여온 것은 아닌 것 같고, 아마도 대량 재배를 성공시키고 널리 확산시킨 최초의 인물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바이올린 사이즈가 어떻게 이루어 지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바이올린의 사이즈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미지출처 - 대구 바이올린 레슨 & 연주 블로그 포스팅]1/16이 유아용이고 4/4가 성인용입니다. 나이에 따라 선택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하는 사람의 팔길이에 따라 사이즈를 선택합니다. 그럼 어디에서 어디까지의 팔길이를 재야하는 것일까요? [이미지출처 - 대전그린악기 블로그 포스팅]위의 이미지처럼 왼쪽 팔을 들어 올려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고 손을 똑바로 측면으로 완전히 폅니다.​위에 보이는 사진처럼 자신의 팔 길이를 측정하여 나와있는 치수표를 보면서 악기의 사이즈를 결정하면 크게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아이가 계속 자라기 때문에 6개월~1년에 한번씩 팔길이를 다시 측정하여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은 악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바꿔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연습용 바이올린은 비싼 제품을 살 필요가 없으며, 만약 전공을 하게 된다면 그 때 고려해도 늦지 않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들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들은 산해진미로서 땅과 물에서 나는 것들을 진상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각 지역마다 조금씩 다른 음식들이 올라갑니다. 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들 각각의 의미보다는 진상하는 방식과 위치에 대한 의미가 더 많습니다. 좌포우혜 : 포 같이 말린 음식보다는 혜 같이 소금에 절인 음식이 좋다는 뜻어동육서 : 육류보다는 바다에서 나는 어류가 좋다는 뜻두동미서 : 꼬리 음식 이라는 뜻의 미보다는 머리 음식 두가 좋으니 건강에 좋은 것을 먼저 먹으라는 뜻즉, 좋은 음식을 먼저 먹고 자주 먹어야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조율시이 : 제사상에서 위패로부터 가장 멀리 둡니다. 즉 약과 같이 가끔씩 먹는다는 의미라고 합니다.대추는 뼈에 좋고, 밤은 머리에 좋고, 배는 배에 좋고, 감은 피부에 좋은 음식으로 몸에 좋은 음식 순으로 배치한 것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조선시대에 군신관의 관계를 나타낸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대추는 씨가 1개이니 임금을 뜻하고, 밤은 밤송이 하나당 3알이 들어있으니 3정승을, 감은 씨가 6개이니 6조를 뜻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배는 명확하지 않네요)홍동백서 : 백색 즉 흰색의 음식보다는 붉은색 종류의 음식이 몸에 좋고 좋은 것을 먼저 먹고 자주 먹어 건강하게 오래 살라는 뜻상기와 같이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제사는 살아 생전 고인께서 잘 드시던 음식을 준비하며 그 분을 기리는 것이 더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차례에서 추석은 그 해 수확한 음식들을 진상하는 것이니 좋은 제수음식들을 장만하여 진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모나리자그림은 왜 프랑스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나리자의 그림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의뢰인에게 전해주지 않고 1516년에 프랑수아 1세의 초청으로 프랑스로 이주하면서 가지고 갔다고 전해집니다. 16세기에 퐁텐블로 궁에 이 작품이 전시되어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는데 어떻게 이곳에 있었는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아마도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초청받아 이주하면서 프랑수아 1세에게 선물한 것이 아닌가 추측됩니다. 이후 튈리르궁에 있는 나폴레옹 개인 침실에 걸려있었다가 루브르 박물관으로 옮겨졌고 18세기 이후에 대중들에게 공개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 양반의 비율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10년의 호구조사에 따르면, 조선시대 양반의 비율은 총 가구수 2,894,777호 중에 54,217호로 1.9%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당시에도 상위 1%대가 세상을 호령하고 살았었네요.
2662672682692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