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역사
역사 이미지
Q.  만약 조상님이 쓰신 한자로 된 일기가 남아있다면 가치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든 글이 문화재적 가치를 지니지는 않지만 개인의 일기도 문화재적 가치를 가질 수 있습니다. 우선 어떤 분의 글이고, 그분과 그분의 글이 시대적인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희소가치가 있는 것인지, 판단되어져야 합니다. 개인적인 일기가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은 것들도 있습니다. 이순신장군의 난중일기라던지, 조선시대 선비 이문건(조광조의 제자)의 육아일기인 양아록, 이재의 갈암선조전후면례일기,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 등이 있습니다. 한번 전문 문화재 감정하시는 곳에 의뢰하여 판단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하여가 형식적 요소랑 사회문화적 가치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방원의 하여가의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如此亦如何 (여차역여하) - 이런들 어떠하며如彼亦如何 (여피역여하) - 저런들 어떠하리城隍堂後垣 (성황당후원) - 성황당 뒷담이頹落亦何如 (퇴비역하여) - 무너진들 어떠하리吾輩若此爲 (오배약차위) - 우리도 이같이 하여不死亦何如 (불사역하여) - 죽지 않은들 어떠하리원문은 한시의 형태로, 5언 6구로 이루어진 소율(小律)의 형태를 따르고 있는 근체시입니다.이것이 포은집(정몽주의 글을 모은 책) 속에 전해 내려오다가 후대 광해군 시절에 심광세가 고시조 형태로 번역하였다 합니다. 이유는 너무 성리학에 매몰된 학자들이 사대주의로 인해 우리의 시는 연구하지 않고 한시만을 고집하는 모습에 우리 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하며, 번역하여 내놓았다고 합니다. 이런들 엇더하며 져런들 엇더하료만수산(萬壽山) 드렁츩이 얼거진들 엇더하리우리도 이갓치 얼거져 백 년(百年)까지 누리리라 ('아래 아'는 키보드 표기법을 몰라 발음대로 적었으니 양해바랍니다.)형태적 갈래는 평시조이자 단시조에 속하고, 내용적으로는 서정시에 속합니다.하여가는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의 아들인 이방원이 고려의 충신이었던, 정몽주에게 고려왕조를 고집하지 말고, 자신과 함께 새로운 세상에서 천수를 누리자고 회유하기 위해 보낸 글입니다. 이에 정몽주가 단심가로 자신의 충정이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답가를 함으로써 결국 정몽주는 선죽교에서 이방원의 측근인 조영규에게 죽임을 당하고 맙니다. 봉건사회의 대부분의 혁명이 역성혁명이었는데, 이성계와 그의 아들 이방원은 민심을 수습하고, 그 정당성을 학자이자 충신이었던 정몽주에게 인정받으면서 덕과 인을 갖춘 성군임을 인정받고 조선의 건국을 선포하려 하였으나 마음대로 되지 않았던 사건이었습니다. 그가 죽은 후 3개월 후에 조선 건국이 선포되었고, 고려는 기억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국과 프랑스가 식민지배했던 국가들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국의 식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 캐나다, 이집트, 이라크, 쿠웨이트, 바레인, 오만, 인도, 파키스탄, 부탄, 남아프리카 공화국, 나이지리아, 가이아나, 잠비아, 짐바브웨, 수단, 남수단, 케냐, 탄자니아, 소말리아(일부 지역), 통가, 투발루, 우간다, 몰디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등 이었습니다. 프랑스의 식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캐나다 퀘백, 알제리, 캄보디아,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 도미니카, 이집트, 콩고, 기니, 모로코, 말리, 가봉, 모리셔스, 코트디부아르, 라오스, 마다가스카르, 모리타니, 콩고공화국, 니제르, 아이티, 세네갈,토고, 중국 텐진, 광저우만, 시리아 등등 이었습니다. 더 살펴보면 추가로 있을 것입니다. 중복된 국가가 있는 이유는 시기별로 영국과 프랑스가 주고 받고 한 경우도 있어 번갈아가며 식민지배를 당했던 곳은 양쪽다 있습니다. 너무 많아서 정말 세기가 힘드네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몽골이 한 때(고려시대)아시아대륙에서 최강이였던 이유?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몽골은 유목민족으로 말을 기르며, 어린 시절부터 말을 타며 지냈습니다. 그러한 일상이 전쟁에 있어서 기마전을 통해 기동력이 상대와 비교하였을 때 월등하게 뛰어났습니다. 그래서 말을 타고 앞으로, 옆으로, 심지어는 뒤로도 활을 쏠 수 있는 마장기술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장수를 제외하고 대부분 보병이었던 상대와는 전쟁에 있어서 전력의 차이가 많이 나게 되는 부분이었습니다. 그리고 보통 그러한 말을 2~3마리 끌고 다니면서 싸우다 말이 지치면 다시 바꾸어 타고 하여 기동력을 지속할 수 있었습니다. 몽골이 중국을 정복할 때도 만리장성이 있었으나, 몽골을 공성전을 하지 않고, 말을 타고 기동력으로 성벽을 우회하여 돌아 뒤를 치는 공격으로 병력과 시간을 낭비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전쟁을 하였습니다. 과거 전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가 군량 보급이었습니다. 보통 10만 대군이다 하면 절반 이상은 보급에 관련한 병력으로 실제 전투력이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몽골군에 있어서는 보급병력이 거의 필요없었습니다. 사전에 육포를 만들어 병력 각자가 가지고 다녔기 때문에 전투 필요없는 인력이 아니라 모두가 정예군이었습니다. 추가로 얇게 잘라 편 고기를 만 안장 아래에 넣고 말을 타고 다니다보면 그 온기에 익은 고기도 먹었습니다. 이것이 몽골군대의 핵심전력인 몽골족과 투르크족의 특성이었습니다. 그리고 여러 지역을 확보해나감으로써 농경민족 출신의 보병대도 확보되었고, 금나라 공격을 통해 획득된 공성 기술을 가진 거란, 여진 등은 공병대로 공성전의 능력까지 추가되면서 유럽까지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근간이 되었습니다. 소위 연합군의 면모를 갖추게 된 것이죠. 그리고 차지한 지역의 국민들도 군대로 편입시켜 규모를 늘려갔고, 그 지역의 모든 경제력을 군대에 집중하여 군사력을 키워나갔습니다.그리고 엄격한 군율과 지휘체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싸움에 이겨도 동료가 모두 죽고 혼자만 살아오거나 한다면, 엄격히 처벌하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소한의 병력손실과 무조건적인 승리의 정신무장이 되어있는 군대였습니다. 이 모든 것의 최상위에는 칭기스칸이라는 위대한 지도자가 있었습니다. 그는 오늘날에도 활용되는 기습전, 침투전, 게릴라전, 유인전, 전격전, 기만전 등을 고안했고, 기동력을 이용한 심리전, 정보전, 포위전, 우회기동전 등을 폭넓게 활용하였으며, 기병과 공병, 포병을 잘 활용하는 복합적인 전술가였습니다. 이렇게 모든 것을 갖추었던 몽골은 당시 세계 최강의 군사력을 가진 국가일 수 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그러한 몽골이 가장 어려워했던 상대가 바로 고려였습니다. 제 9차 고려-몽고 전쟁의 28년간의 싸움 끝에 고려도 머리를 조아릴 수 밖에 없었지만, 고개를 숙이고 조공을 바쳤을 뿐 국가 자체가 사라지지는 않았습니다. 계속적인 저항이 일어나다 보니 몽골도 완전히 고려의 국가를 없애지는 않고, 유화책을 사용하여 제후국으로 두고 국혼을 통해 몽골의 공주들을 고려의 왕자와 결혼시켜 그 관계를 돈독하게 하려했습니다. 특히 고려 충렬왕은 몽골 쿠빌라이칸의 사위가 되어 몽골의 쿠릴타이라는 고위급 회의에도 참석할 정도로 서열이 높았으며, 그만큼 고려를 인정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의 아들인 충선왕의 경우도 쿠릴타이의 외손자였기 때문에 몽골 황실 내에서도 상당히 높은 서열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뭐 어쨌든 끈질기게 저항한 고려는 맞지만, 강력한 몽골에 무릎을 꿇은 것은 사실이니 몽골의 강함은 당시 적수가 없었던 것 같습니다. 당시 대단한 힘을 가진 국가였음은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독일도 분단국가였었는데 어떻게 통일을 할 수 있었죠?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 독일의 통일은 통일되었다는 오보에 의해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닙니다. 독일은 전범국가였기 때문에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의 승인이 있어야만 통일할 수가 있었습니다.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고, 미국이 소련을 압박하여 소련과 동독의 교섭을 이끌어내었습니다. 그리고 서독 정부는 동독 정부와 경제적으로도 협력할 때도 반드시 지원에 상응하는 대가를 받아내는 등 전략적인 대응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서독의 콜 총리는 통일에 대한 확고한 의지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서독을 민주국가, 부강한 국가로 만들어 동독 주민들의 공산주의에 대한 반감과 서독에 대한 동경으로 여론을 이끌었습니다. 독일 통일의 주역으로는 에곤바, 빌리브란트, 헬무트콜, 동독주민들, 소련의 고르바초프, 미국의 조지 부시, 서독 교회 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들이 설계하고 노력하고, 각자의 이해관계가 맞았기에 급진전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동독에서 선거부정 문제가 발생하였고, 여행자유제한 등의 문제로 동독에서 서독으로 탈출하는 시민들이 해마다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었습니다.이후 상황이 급진전되어 동독의 기민당과 사민당이 1989년 4월5일 개원한 민주의회에서 서독과의 통일 협의를 개시하고, 동독 총리가 서독의 수도 본에서 콜 총리와 화폐를 비롯한 사회통합 합의를 이룸으로써 사실상 통일을 이룬 것이나 마찬가지 였습니다. 이후 동독이 공산국가의 연합인 바르샤바조약기구에서 탈퇴하였고, 동독 의회가 독일민주공화국의 소멸을 의결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1989년 11월 9일 동독 정부의 대변인인 권터 샤보프스키가 여행제한이 어느 정도 완화되었다는 정책을 발표하기 위한 기자회견에서 정책 수립에 참여하지 않았던 샤보프스키가 "서독을 포함한 외국여행을 자유화한다."고 발표했고, 언제부터냐는 이탈리아 기자의 질문에 "지금 당장!"이라고 답하면서, 그 발언이 뉴스로 긴급보도되었고, 그 제목이 "The Berline wall has collapsed(베를린 장벽이 무너졌다)."로 되면서 방송을 보고있던 동독 시민들이 모두 베를린 장벽으로 향했고, 결국 장벽이 무너졌고, 1990년 5월에 동독과 서독, 영국, 미국, 프랑스, 소련이 참석한 회의에서 독일의 통일이 논의되었고, 1990년 10월 3일 정식 통일이 이루어졌습니다. 정말 감격스러웠을 것 같습니다. 우리도 이러한 국제적인 이익이 잘 맞고, 우리 민족의 마음이 하나가 되어 통일될 수 있는 그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2662672682692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