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서수 세기를 어려워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기가 몇살인지 모르겠네요. 기수에 비해 서수의 개념과 세기를 익히는 것은 어느 정도 나이가 들어야 가능합니다. 숫자(기수) 1, 2, 3을 구별한다는 것을 보니 2살~3살은 지난 것 같습니다. 여러개의 장난감이나 물건들이 있을때는 양을눈으로 확인하면서 수를 세는 개념으로 보면서 익힐 수 있는 비교적 일반적이 개념입니다. 반면, 서수는 서열을 매기는 기념으로 첫번째 다음에 두번째, 다음에 셋째.... 이런 서열을 나열하는 개념은 차례의 개념, 앞과 뒤, 전과 후 등의 이어지는 서열 개념을 이해해야 셀 수 있어서 개념 습득이 안되면 어려운 세기입니다. 아이가 서수를 아직 못한다고 고민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고 조금씩 개월수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자연스럽게 습득될 수 있습니다.
Q. 아기 발음 교정이 필요한 시기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기의 발음이 불명확한 것이 걱정스러우신 모양입니다. 아기들의 언어 발달에 근거해서 답변드립니다. 아기들은 언어발달이 2살 정도가 되면 몇 개의 단어(엄마, 맘마, 아빠.)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살 ~3살이 지나면서 몇 개의 단어들을 연결해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게 됩니다. 예) 엄마 맘마 주세요그러다가 3살이 넘어가면 연결된 문장들의 사용이 많이 확대가 되고, 5~6세가 되면 어른들과 대화할 수 있을 정도로 언어가 발달합니다. 아이의 발음을 교정해야할 필요가 있다면 언어 발달의 결정적 시기라고 하는 3~4세 정도 이후부터 시작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교정이라는 것 자체가 아이에게는 힘든 고통이 따르게 됩니다. 해서 자신의 문제점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이해하고 그러한 남과 다른 점을 교정해야 한다는 이해가 가능한 나이쯤에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5세 이후를 추천드립니다.
Q. 본인이 좋아하는 것 보다 친구가 좋아하는 것을 같이 할려는 아이 어떻게?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우리 아이는 사회성이 좋은 아이인 것 같습니다. 친구가 좋고 친구랑 함께하고 싶고.... 혼자보다는 누구랑 함께하는 사회성이 우선하는 아이라고 보여집니다. 먼저, 중요한 것은 이런 면은 아이의 성향으로 좋다 나쁘다 또는 올바르다 그르다 등으로 판단하는 것을 적절하다고 판단되지 않습니다. 아이의 결정을 존중하고 아이의 선호를 믿어주시는 것이 부모가 해야할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아이가 자신의 좋아하는 활동, 선호활동, 자기만의 의사결정 등을 하도록 주도적 표현을 하는 것은 필요합니다. 이런 주도적인 표현은 지시해서 되는 것이 아닌 아이가 스스로 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식으로 도움을 주시면 좋겠습니다. - 아이와 많은 대화를 해서 자신이 좋아하는 것(앞으로 되고 싶은것, 미래희망, 잘하는 것, 하고 싶은것 등)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주세요 아이들은 아직 자기결정력이 완성되지 않아서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을 잘하고 등등에 대한 것을 잘 모를 수 있습니다. - 아이가 자신의 선호과제, 선호하는 활동, 잘하는 것등을 찾도록 부모님께서 도와주시면 아이는 자기만의 것들을 만들어 갑니다. - 부모님께서 보시기에 아이가 잘한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좀더 깊이 하도록 유도해주시거나, 잘한 결과물들을 칭찬해주시는 것들이 아이에게 자극제가 되어 하고 싶은 것 들을 하나씩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
Q. 아이가 왼손잡이 입니다. 왼손잡이가 두뇌가 더 좋다는 속설이 있는데 맞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왼손잡이 아이 때문에 걱정이시군요. 아이가 왼손잡이이면 두뇌가 더 좋다는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린 것같습니다. 왼쪽 뇌(좌뇌)는 언어/논리/수리 등 영역에 특화되어 있어서 이런 면의 기능이 발달하게 됩니다. 왼손잡이가 두뇌가 좋아진다는 말은 과거 지능검사들이 언어/논리/수리 등을 측정하는 검사들이어서 점수가 높게 나올 수 있다는 가정으로 그런 식으로 말은 한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반면, 오른쪽 뇌(우뇌)는 예술/감성/정서 등 영역에 특화되어 있어서 이런 면의 기능이 더 발달하게 됩니다. 요즘은 과거 지능검사와 달리 다양한(다중지능) 영역의 지능을 측정합니다. 언어/논리/수리/예술/감정/공간.... 등 해서, 우외와 좌뇌를 통합한 지능검사들을 활용한 IQ테스트를 하는 경우가 보통입니다. ** 이런 측면에서 보면 양손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균형잡인 발달에는 더 좋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마다 먼저 나가는 손은 있기 마련입니다. ** 아이가 왼손잡이라서 걱정되어 오른손잡이로 교정해주고 싶은 마음은 이해가 갑니다. 아무래도 불편할 수 있으니,,, 하지만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는 것보다는 자신이 더 좋은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왼손으로는 글씨쓰고, 밥먹고... 오른손으로는 다른 것들을 하는 아이들도 많습니다. 양손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지요.